한화그룹의 미래 먹거리는 태양광이다. 한화는 지난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는 독일 큐셀을 인수해 한화큐셀을 출범시켰다.
한화는 한화큐셀 인수를 계기로 태양광 원료인 폴리실리콘부터 셀·모듈 생산, 발전소 건설 및 운영에 이르는 태양광 발전과 관련한 모든 분야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거듭났다. 한화는 추가 연구개발(R&D)에 박차를 가해 태양광 발전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적극 육성할 방침이다.
새로 출범한 한화큐셀은 매년 2400㎿ 규모의 태양광 발전용 셀을 생산하는 세계 3위권 회사로 자리매김했다. 기존에 보유했던 중국 공장 외에 큐셀의 독일 공장(200㎿)과 말레이시아 공장(900㎿)를 확보하게 된 것이다.
큐셀 인수의 가장 큰 이득은 미국 등에서 중국산 셀을 판매할 때 반덤핑 규제를 피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은 정부 보조금을 받고 생산되는 중국산 셀을 견제하기 위해 반덤핑 규제 등 각종 무역장벽을 활용해왔다. 한화는 중국 공장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생산한 물건을 미국 시장에 팔고 있다.
한화케미칼은 올 하반기 여수에 1만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장도 가동할 예정이다. 이 공장이 가동에 들어가면 한화는 폴리실리콘(한화케미칼)-셀·모듈(한화큐셀)을 만드는 태양광 발전 분야의 수직계열화를 이루게 된다. 한화큐셀은 태양광 발전소 건설과 운영 분야에서 세계 최정상급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화그룹은 큐셀 인수를 계기로 세계 3대 대륙에 태양광 R&D 벨트를 구축하기로 했다. 기존 큐셀의 독일 R&D센터는 셀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한화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태양광 연구소인 한화솔라아메리카를 운영 중이다. 한국과 중국에서도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R&D 분야에 대한 투자는 성과로 가시화하고 있다. 한화솔라원은 지난해 8월 일본 마루베니상사가 일본 전역에서 추진 중인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 4년간 500㎿ 규모의 태양광 모듈을 공급하는 계약을 맺었다.
지난해 12월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총 155㎿ 규모의 모듈을 납품하기로 했다. 한화큐셀코리아는 서울시에 2014년까지 100㎿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할 예정이다.
한화의 태양광 사업은 주요 국가에서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 10월 미국의 시장조사기관 GTM은 태양광 모듈 업체 중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을 업체 9곳 중 하나로 한화를 꼽았다.
기술 투자와 더불어 한화는 세계 시장에 태양광 에너지의 효율성과 중요성을 알리는 운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 1월 다보스포럼이 열린 스위스 다보스시에 태양광 모듈을 기증해 포럼의 친환경 정신에 동참했다. 지난해 7월에는 급격한 사막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 닝샤자치구 링우시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기도 했다.
한화는 또 전국의 사회복지 시설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무료로 설치해주는 ‘해피선샤인’ 캠페인을 펼치며 태양광 사업을 통해 ‘나눔 경영’을 실천하는 데도 앞장서고 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 ?????? ???? ???? "?????? ????δ? ???????"
?? ???????? '?????' ??? ???? ???? ?????
?? ????? ???л?, ?????? ??? ???????????
?? ????? ???? ??? ?? ???? ????? ???????
?? ??? ? "??? ??? ???????? ?????????"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