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9학년도에 예비고사가 도입된 이후 대학 입학 제도의 평균 수명은 1.2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7일 한국사를 대입 필수로 반영하는 등 새로운 대입 제도를 발표한다. 대입 제도의 잦은 변경은 수험생과 학부모를 혼란에 빠뜨리고 공교육에 대한 불신만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6일 한국경제신문이 교육업체 이투스청솔과 함께 연도별 대입 제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69학년도에 예비고사를 치른 이후 올해 입시(2014학년도)까지 46년간 38회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1.2년에 한 번 꼴로 새로운 대입 제도가 시행됐다는 의미다. 아무런 변경 없이 전년도와 똑같은 방식으로 대입이 치러진 해는 1978학년도와 1989~1991학년도 등 8개 연도에 그쳤다.
대입 제도가 가장 자주 바뀐 것은 대입 국가고사였다. 예비고사와 본고사제는 1969학년도에 시작해 1981학년도까지 13년간 이어지다 1982학년도부터 학력고사로 바뀌었다. 1994년에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로 바뀌었지만 올해 입시(2014학년도)에서 A·B형 수준별 수능을 도입하는 등 거의 매년 부분적인 제도 변경이 잇따랐다.
대학별로 치르는 시험도 국가고사 못지 않게 수시로 바뀌었다. 1969학년도부터는 예비고사와 함께 대학별 본고사를 치렀지만 1981학년도에는 본고사가 폐지됐다. 1986학년도부터 논술이 대학별로 치러지는 등 대학별 고사가 부활했다가 2년 만에 논술이 없어졌고 국어·영어·수학 중심의 학교별 지필고사가 1994학년도에 다시 생겼다가 3년 만에 폐지되는 등 끊임없이 오락가락했다.
모집 시기, 모집 단위, 지원 방식, 내신 반영 방법 등도 여러 차례 바뀌어 대입 제도는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 이처럼 입시 제도가 자주 바뀌는 것은 정부가 대입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한다는 명분으로 다양한 방안을 내놓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평가이사는 “입시 제도의 타당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즉흥적으로 바꾸다 보니 교육 정책의 신뢰가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수험생과 학부모의 사교육 의존도만 높여 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백범 교육부 대학지원실장은 “대입 제도를 운영하면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하면 공정성과 공교육 정상화 등을 위해 변경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정태웅/강현우 기자 radael@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은행이자보다 3배 수익으로 알려진 호텔식 별장]
박진영, 美서 '적자'나더니 99억을…충격
"오빠! 용돈 600만원씩 줄거지?" 다짜고짜…
류시원 아내에게 친형이 무섭게 내민 칼은…
女배우, 부모님 몰래 '초고속 결혼'하더니…
'성상납 의혹' 맹승지, 황당하다더니 끝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