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금융위원회·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중소기업청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정책금융 역할 재정립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5월 초부터 운영한 정책금융기관 체계 개편 태스크포스(TF)의 결과물이다.
정부안의 핵심은 산업은행의 ‘원점 회귀’다. 민영화를 추진하기 전 상태로 완전히 돌리는 것이다. 산업은행에서 2009년 분리되어 나간 정책금융공사를 흡수하는 것이 골자다. 정부는 올해 중 국회에서 관련법을 개정해 내년 7월1일부로 통합 산은을 출범시킨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다만 해외수출 지원 등 정책금융공사의 해외업무 관련 자산(2조원)과 부채, 인력은 수출입은행으로 이관한다. 또 성장사다리펀드와 온렌딩 등 정책금융공사의 주요 기능은 산업은행이 받아 그대로 운영할 예정이다.
대우증권 등 자회사들은 일단 산업은행 계열사로 만든다. 대우증권은 당분간 매각하지 않을 예정이다. 우리투자증권 매각이 예정돼 있어 제값 받기가 쉽지 않고, 투자은행(IB) 역할로 산업은행의 정책금융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SOC 투자 업무를 주로 하는 KDB인프라자산운용은 매각대상에서 제외된다. KDB캐피탈 KDB생명 KDB자산운용은 통합 후 매각을 추진한다.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는 큰 틀에서 현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무역보험공사의 단기수출보험 기능은 민간 손해보험사들에 단계적으로 넘긴다. 무역보험공사는 2년 이상 중·장기보험에서 전체 순이익의 60% 이상이 발생하는 만큼 큰 타격은 받지 않을 전망이다. 수출입은행은 그간 시중은행과 경쟁해 왔던 포페이팅 팩토링 등 외국환 관련 업무를 더 이상 하지 않는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도 현 상태대로 유지된다. 선박금융공사는 추진하지 않는다. 대신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 산업은행 등의 선박 관련 인력과 조직을 부산으로 이전(100명)해서 ‘(가칭)해양금융 종합센터’로 통합 운영하기로 했다. 해운보증기금 설립은 50% 이상 민간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내용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검토할 예정이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은행이자보다 3배 수익으로 알려진 호텔식 별장]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