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경제 양성화나 비과세 감면·축소만으로는 도저히 복지 재원 감당이 어렵다는 현실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박 대통령의 복지공약에만 매년 평균 27조원의 돈이 들어간다. 여기에 기존 복지예산까지 합하면 내년부터 총 복지예산은 사상 처음 100조원을 넘게 된다. 하지만 경기부진으로 올해 상반기에만 10조원의 세금이 덜 걷혔다. 하반기에는 경기가 다소 회복된다고 하지만 세수부족이 완전히 해소될 것 같지는 않다. 복지는 구조적으로 늘어나고 세수는 상시적으로 부족한 그런 상황이다. 사실 우리가 본란에서 줄곧 지적했듯이 ‘증세 없는 복지’는 불가능하다. 복지를 줄이든지, 세금을 더 걷든지 양자택일을 해야 한다.
국민들도 보편적 복지를 원한다면 보편적 세금도 받아들여야 한다. 박 대통령이 ‘국민 공감 하’의 증세를 말한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보편적 증세를 수용하기 어렵다면 복지를 줄일 수밖에 없다. 이는 대선공약 이행 여부와는 또 다른 문제라고 봐야한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대통령도 증세를 언급한 만큼 이제 이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li>다른 男과 성관계한 아내 속옷 봤더니… </li>
<li>한혜진, 기성용과 결혼한 지 3개월 만에…</li>
<li>女 "나 숫처녀야" 고백에 예비신랑 반응이</li>
<li>女직원, 추석 때 출근했더니 부장이…충격</li>
<li>조영남, 청담동 자택서 3명의 女와…발칵</li>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