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한 귀농가구 수가 2년 연속 1만 가구를 넘어섰다. 귀농자들이 가장 많이 찾은 지역은 2,080가구인 경상북도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14일 민주당 김춘진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가구 수는 사상 최대인 1만1,220가구로 집계됐다.
2011년 880가구에 불과했던 귀농 인구는 2004년 1,302가구로 늘었다. 2008년 2,218가구, 2009년 4,080가구, 2010년 4,067가구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인 뒤 2011년 처음으로 1만 가구를 넘어 1만503가구를 기록했다.
시도별로는 경상북도가 2,080가구로 가장 많았다. 전라남도 1,733, 경상남도 1,434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2011년 224가구에서 2012년 1,027가구로 증가한 반면 강원도는 2011년 2,167가구에서 2012년 972가구로 줄었다.
귀농·귀촌 붐은 우리나라만의 특별한 현상은 아니다. 미국은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약 500만 명이 도시를 떠났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도 시골로 발길을 돌리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당시 실직으로 농촌행을 택한 사람들이 늘면서 일시적인 귀농 인구의 증가가 있었지만 본격적으로 귀농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는 인구를 넘어선 것은 2009년부터다.
전문가들은 많은 귀농자들이 경상북도를 선호하는 이유로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꼽았다. 경상북도는 조례를 제정해 귀농·귀촌인에 대한 지원 근거를 마련, 2010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귀농인 인턴 지원 사업을 도입했다. 지난해부터 귀농인에게 농어촌진흥기금을 지원하는 등 귀농자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여러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치열한 도시생활에 지쳐 전원생활을 찾으려는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지만 불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귀농·귀촌을 결심하는 사람들도 많아 실패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초기 정착을 위한 주택이나 농지 문제, 지역민과의 갈등, 도시 생활 향수 등이 넘어야 할 산이다.
전문가들은 철저한 준비 없는 농촌 이주는 수익을 창출하기 어렵고, 비즈니스 실패가 역귀농의 가장 큰 이유라고 입을 모았다. 정부와 지자체가 귀농·귀촌 정책 홍보뿐아니라 귀농·귀촌인들의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위한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춘진 의원은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하면서 지자체가 귀농·귀촌 지원책을 앞다퉈 내놓고 있으나 국가 차원의 조정이 필요한 측면이 있다" 며 "도시와 농촌이 상생할 수 있는 귀농·귀촌 정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이정진 인턴기자 jleel080302@gmail.com
▶[화제] "초당 12만원" 버는 사람들...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