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무기 개발에 공을 들이면서 한반도 주변 안보를 위협하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은 북한에 실질적인 영향을 행사할 수 있는 한반도 주변 강대국과의 정상외교에 각별히 공을 들여왔다.
지난 5월 미국을 찾아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으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는 지난 6월 국빈 방중 때에 이어 지난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2차례에 걸쳐 대좌했다.
푸틴 대통령과도 지난 9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에서 첫 회담을 했고 이번이 두번째다.
박 대통령은 독도 및 과거사 왜곡 문제로 관계가 경색된 일본을 제외하고는 미국과 중국, 러시아 등 6자회담 당사국 정상들과 만나 자신의 대북정책기조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평화협력 구상 등을 설명하며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해온 셈이다.
그 결과 박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으로부터는 확실한 지지를 끌어내는 성과를 거뒀다.
푸틴 대통령과의 첫 회담에서는 대북 문제에서 러시아 측의 뚜렷한 지지 표명이 없었으나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다시 기회를 얻게 된 측면이 있다.
이 때문에 이번 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으로부터 북한 비핵화나 새 정부의 대북기조에 대한 명확한 지지 표명을 끌어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양국 외교부는 두 정상이 회담을 마친 뒤 발표할 공동성명의 구체적인 문안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성명 안에 지난 2010년 발표된 한ㆍ러시아 공동성명 내용보다 한 단계 높은 차원의 대북 메시지가 담길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남ㆍ북ㆍ러 가스관 연결이나 한반도 종단철도(TKR), 시베리아 횡단철도(TSR) 연결, 우주기술 분야 협력, 러시아 극동지역 개발, 북극항로 개발, 러시아 경협차관의 상환, 자유무역협정 체결, 무비자 입국 등 문화ㆍ인적 교류 활성화 등의 이슈도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전해졌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