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동 기자 ] ‘빼빼로데이’는 1994년 부산에서 시작됐다. 여자 중고교생들이 11월11일 친구끼리 우정을 전하며 ‘키 크고 날씬하게 예뻐지자’며 길쭉한 막대과자인 빼빼로를 선물한 것이 계기였다. 이것이 유행을 타자 지방의 한 신문이 보도했고, 이 보도를 계기로 제과업체와 유통업체가 본격적인 마케팅을 벌이면서 ‘빼빼로데이’가 됐다.
‘빼빼로데이’는 제과업체로선 연중 최대 대목이다. 롯데제과는 빼빼로 연간 매출의 40%를 9~11월에 유통업체에 판매한다. 대형마트 편의점 등 유통업체는 11월에 빼빼로의 30%를 소비자에게 판다.
그런데 올해엔 제과업체의 잔칫날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 발생했다. 환경운동연합이 빼빼로가 방사능에 오염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성명서를 발표한 것이다. 성명서가 나온 날은 11월11일을 하루 앞둔 지난 10일. 환경운동연합은 롯데제과와 해태제과가 그간 일본 후쿠시마 인근 8개현 및 일본 전역에서 가공식품·원료식품을 수입해 왔다는 점을 문제 제기의 근거로 삼았다. 롯데의 7개 빼빼로 제품과 해태의 포키(빼빼로의 경쟁상품)가 방사능에 오염됐을 수 있다는 결론이었다.
롯데와 해태는 즉각 부인했다. 롯데는 2012년 5월 이후에 빼빼로에 후쿠시마 지역 원료를 사용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해태 역시 일본 고베에서 들여오기 때문에 후쿠시마와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제과업체들은 환경운동연합이 성명서를 발표하기 전에 어떤 문의도 해 오지 않았다는 점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아니면 말고’식의 전형적인 의혹 터뜨리기라는 얘기다.
제과업체들은 환경운동연합이 성명서를 낸 날짜에 주목하고 있다. 빼빼로가 관심을 모으는 시점을 의도적으로 택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경운동연합이 세간의 이목을 받으려는 속셈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시각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제과업체들이 해명을 내놓은 이후 “후쿠시마 인근에서 수입해 오지 않은 것이 일부 재료가 아니라 모든 재료에 해당하는지 밝히라”고 나섰다. ‘확전’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제과업체들은 소송을 걸 수도 없고, 그렇다고 언제까지 끌려다녀야 하는지 답답해 하고 있다. 이래저래 말 많은 빼빼로데이다.
박준동 생활경제부 기자 jdpowe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