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1: 알 수 없는 문제조건
이렇게 제목을 뽑아놓았다고 놀라실 필요는 없습니다. 단국대의 경우 문제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문제조건이 제대로 이해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논술을 시작한 지 그리 오래 되지 않았기 때문에 논술에 대한 나름의 원칙이 세워지지 않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혹은 학생들이 어떤 식으로 논술을 배우고, 쓸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무엇보다 친절하게 제시해준 가이드북을 본 학생들이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왜 답이 이렇게 나오죠?”
학생들이 배운 방법으로 문제를 풀고 나서, ‘아하, 대충 이렇겠군’이라고 생각하지만 알고 보면 답이 다소 ‘엉뚱’하게 나오기 때문이죠. 우선 문제조건이 까다로운 경우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2013년 모의문제+2013학년도 수시2차 중 세트 1-2번 문항
문제. [가]에 나타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나]와 [다]에서 제기한 문제가 무엇인지 요약하시오. (300자 내외)
여기서 ‘제기한 문제’라는 부분은 (나)(다)가 (가)를 비판하기 위해서 등장한 부분이 아닙니다. 문제를 막상 풀어보거나, 제시문의 관계를 보면 알겠지만, 이 부분은 (가)의 나타난 갈등 혹은 문제 인식에 대해 보완하거나, 해결책을 제시해주는 부분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를 제기하다’라는 표현을 씀으로써 학생들을 당혹케 했습니다. 단국대의 문제는 그러므로, 제시문 간의 관계를 정확히 따져보는 것이 문제조건을 이해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이지요.
이번에는 답안이 엉뚱한 경우도 살펴보겠습니다. 많은 학생이 가이드북의 예시답안을 숭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더더욱 우려가 됩니다.
2014년학년도 모의문제 중 세트 2번 문제
문제. 제시문 [가]의 논지를 파악한 후, 이를 [나]의 박지원의 시각과 [다]의 정책에 담긴 시각에 적용하여 평가하시오. (600자 내외)(30점)
문제는 분명 <평가하시오>로 제시됐습니다. 일반적으로 논술을 배우거나 풀어본 학생이라면, <평가>란 제시문이 1대 1로 배치될 경우 일반적으로 비판하기, 만일 제시문이 복수로 제시될 경우 <좋거나 나쁘거나><긍정 혹은 부정>와 같이 가치판단으로 적용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겁니다. 물론 이 문제는 후자처럼 보이지요. 더군다나 문제조건이 복잡하지요? 다른 대학처럼 쉽게 썼다면 분명 ‘(나)(다)의 관점으로 (가)를 평하시오’라고 만들었겠지요. 문제 자체를 어렵게 만드는 것과 문제 조건을 어렵게 만드는 것의 차이가 분명 있는 것이지요. 어찌했든 해설과 답안을 펴봅니다. 이런 문구가 눈에 띕니다. 보통 문제를 푸는 학생들은 가이드북의 평가기준을 제대로 살펴보지 않겠지만, 저는 직업상 이 부분을 유심히 살펴보기 때문에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나], [다]의 논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함. [나]의 경우 ‘경제생활의 자유’, ‘국가 개입의 최소화’ 등을 유지하고자 하는 시각이 나타나며, [다]의 경우 ‘적극적 국가 시책에 의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 성장’의 의미가 중시되어 있음. [나]와 [다]에서 제시된 두 가지 시각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헌법 제119조의 의미와 연관지어 설명하는 능력을 평가함.
마지막 부분을 보시면 알겠지만 <평가하시오>라는 문제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느냐면 <설명하는 능력>을 평가한다고 해놓았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제시된 답안 역시 설명만 돼 있지요. 이렇게 되면 이제 학생들의 입장에서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단국대는 평가를 하라고 하면 설명을 해야 하나?”라고 말이지요. 그러므로, 가이드북 하나가 얼마나 중요한 것이겠습니까?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답안은 그렇습니다. 어찌했든 (가)의 내용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평가’라는 단어를 써서 답안을 만듭니다. 단국대 측도 (가)와 (나)(다)의 관계가 ‘조립’돼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고 있으므로, 정확히 연결하고 ‘평가’라는 단어를 재생산해줌으로써 정확하게 문제조건을 이해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지요. 즉, 형식상 평가라고 쓰지만, 내용상 설명의 형태를 띠는 것이지요.
핵심 2 : 연결하기 (글짓기 유형)
단국대는 뭐니뭐니 해도 3번 문제가 가장 까다롭습니다. 난이도도 제법 있고요.
2014년 모의문제
문제 3. 제시문 [가]~[다]를 활용하여, [라]의 ‘한국의 청년 실업률과 청년 고용률’이 시사하는 바를 해석하고, [마]에 서술된 ‘바람직한 연구자의 태도’를 600자 내외로 논술하시오. (40점)
제가 임의로 이름을 붙이긴 했지만, <글짓기 유형>이란 정확히 말하면 주어진 제시문들을 인과적인 관계로 묶어서 보여주는 유형이지요. 특정한 관계를 던져주지 않은 복수의 제시문(자료)을 토대로 이야기를 꾸며내는 것이지요. 위 문제에도 보이듯, 이런 문제들은 제시문이 분류되지 않고 묶여 있습니다. 특정한 관계를 말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는 쭈루룩 붙어 있는 저 제시문들입니다. 이 제시문을 쭈루룩 나열-요약해야 할까요? 아니죠. 그렇게 한다면, 제시문이 어떻게 연관되는지와 상관없이 ‘(가)는 ~라고 주장한다. (나)는 ~라고 주장한다. (다)는 무엇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어떠하다’와 같은 구조가 나오게 됩니다. 당연히 아무런 연결이 보여지지 않지요. 읽는 사람도 그럴 겁니다. ‘뭐지? 요약만 쫘르륵 하고, 답만 맞히면 된다는 것인가?’
그러므로 글짓기 유형 문제의 핵심은 저 제시문간의 관계를 찾아내는 일이지요. “제시문 3개가 나오고, 그걸로 제시문 (라)를 설명하는 것이라면, 구조상 (라)안에 3개의 내용이 모두 들어있다는 것이겠지?”라고 말이지요. 맞습니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제시문 간의 관계가 무엇이냐는 것이니까요. 실제로도 출제자들은 정확하게 <같냐, 다르냐, 포함하냐>를 제시해주지 않고 우리에게 맞혀보라고 요구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문제를 풀 때 2개의 패턴으로 생각하는 것이지요. 우선 먼저 풀이방식 첫 번째를 보겠습니다.
우리가 여기서 생각해야 할 것은 <원리와 사례>입니다. 아니 혹은 <원인과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 혹은 <배경과 현상>일 수도 있지요. 기본적으로 이 제시문들은 모두 어떤 순서에 의해 조직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좀 더 쉽게 표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의 근본 원인이자 배경이 되는 (가)를 먼저 찾아내는 것이 이 문제를 푸는 핵심입니다. 어느 제시문으로부터 쓰느냐에 따라 글이 바뀌거든요. 그리고 (나)와 (다)의 관계를 설정하면서 글을 이어갑니다. 답안은 아마도 이렇게 되겠지요. “(가)에 의하면, 역사 연구란 같은 사료를 사용하더라도 역사가의 관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로 (나)는 사치에 대한 관점을 보여준다. (중략) 이런 접근 관점에 더해,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엄밀성 또한 요구된다.”
어떤 문제를 풀어볼까?
친절하게도 가이드북을 내주었지만, 그다지 신뢰할 만한 것은 아니므로 주변의 선생님들에게 첨삭을 받거나 문의를 꼭 해보도록 하세요. 또한, 써야 할 분량이 다소 적으니, 이 부분도 유의하면서 압축적인 글쓰기를 연습해봐야겠지요. 하나 더 추가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단국대 볼펜만 허용됩니다. 볼펜으로 쓰는 훈련하세요!
우선 풀어볼 문제는 2014학년도 모의문제입니다. 작년의 경우를 볼 때, 모의를 그대로 기출에 내주는 ‘우직함’이 돋보였던 만큼, 이번에도 모의를 경우를 그대로 따라주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물론 2013년 모의와 기출 역시 좋은 훈련이 될 수 있습니다. 어찌했든 세트1, 2, 3이 갖는 고유한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이용준 S·논술 인문 대표강사 sgsgnote@gmail.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