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張측근 인사들 반란 모의…반격 차단 위한 선제조치"
[ 이정호 기자 ] 북한이 장성택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을 속전속결로 처형한 것은 오는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2주기를 맞아 대내외에 ‘김정은 시대 구축’을 명확히 선언하려는 의도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인 지배체제 유지를 위해선 고모부이자 권력 최측근인 장성택까지 숙청할 수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당 간부와 주민들에게 전달하는 ‘공포 정치’의 연장선이란 분석이다.
실제 북한은 지난 8일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장성택을 ‘반당·반혁명 종파분자’로 낙인 찍고 불과 나흘 만인 12일 특별군사재판을 열어 ‘정변을 꾀한 역적’이라고 사형 선고를 내렸다. 이에 앞서 지난달 말에는 장성택의 측근 인사인 이용하 당 행정부 제1부부장과 장수길 부부장을 공개 처형하고 숙청 사실을 주민들에게 공개하기도 했다.
비밀 처형을 통해 체제 공고화를 시도했던 김정일 위원장과 달리 일사천리로 반란 세력에 대한 공개 숙청을 진행한 것은 북한 권력 핵심부에 광범위하게 포진한 장성택 측근 인사들이 군사쿠데타 등 반란을 모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선제 조치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내부 동요를 막고 장성택 잔당에 대한 숙청작업에 우호적인 정치환경을 만들기 위해 헌법상 최고 죄목을 들어 신속하게 장성택을 처리한 것”이라며 “언론을 통해 이례적으로 숙청 및 사형 사실을 공개한 것 역시 단호한 리더십을 부각하기 위한 시도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은 이번 숙청 작업에서 당 정치국 확대회의에 참석한 장성택이 인민보안요원들에게 체포돼 끌려나가는 모습까지 조선중앙TV를 통해 내보내는 파격 조치를 했다. 이어 노동신문 등 매체를 통해 간부와 주민들을 동원, 장성택을 ‘쥐새끼’ 등으로 매도하며 전기로에 처넣어버리고 싶다는 등의 여론몰이에 연일 나섰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장성택에 대한 분노를 조장함으로써 주민들의 충성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고 처형 명분도 쌓을 수 있었던 셈”이라며 “김정일 사망 2주기 이전에 모든 것을 정리하는 게 좋겠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