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잡앤조이 단독 취재
"취업률에 큰 도움 안돼"
[ 박수진 / 이도희 기자 ] 정부는 2003년 ‘여대생 취업률 증진’을 위해 새로운 지원정책을 내놓았다. 전국 대학에 여학생을 위한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를 설치해 취업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키로 한 것. 여성가족부(당시 여성부)가 추진하는 이 사업은 연간 5만여명의 여학생이 참여하는 국가 지원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한국경제신문의 격주간 대학생 매거진 ‘캠퍼스 잡앤조이’가 17일자 ‘이슈체크’를 통해 집중 취재한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평가서비스’에 따르면 4년제 대학 여성 졸업생의 취업률은 2003년 50.4%에서 2013년 44.4%로 10년 새 오히려 6%포인트나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남성 졸업생의 취업률은 51.5%에서 47.5%로 4%포인트 하락에 그쳐 남녀 취업률 격차가 더 벌어졌다.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를 운영해 온 대학들이 재신청을 포기하고 중단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올해 재신청을 포기한 A대학 관계자는 “취업률이 기대보다 저조하고 운영상 문제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센터를 운영하는 데 있어 정부가 모르는 고충이 많다”고 하소연했다.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는 전국 각 대학의 신청을 받아 여가부가 심사를 거쳐 매년 지원 대상 학교를 선정한다. 선정된 대학은 연간 5000만원의 지원금을 받아 맞춤형 강의와 합숙캠프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된다. 여가부가 ‘필수’로 제시하는 ‘젠더의식 강화훈련’ ‘직무능력 훈련’ 등도 포함된다. 2003년부터 작년까지 이 프로그램에 투입된 국고는 지난해 13억원 등 총 92억5000만원이다.
대학들이 귀띔하는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의 문제점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지지부진한 여대생 취업률이다. A대학 관계자는 “센터 운영 후에도 취업률은 크게 높아지지 않아 학교 행정부서에서 여대생 취업지원 부문을 다른 팀과 통합해 운영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학은 2003년부터 작년까지 매년 이 센터를 운영해 왔다.
둘째는 국고 지원이 큰 도움이 안 된다는 점이다. 학교에서 자체 충당해야 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지방 소재 B대학의 지난해 센터 운영비를 조사한 결과 약 2억5000만원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고 지원금의 5배가 넘는 금액이다.
셋째는 여학생만을 위한 센터 운영이 부담스럽다는 점이다. 서울·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센터를 새로 만들어 독립 조직으로 운영하기가 벅차다는 의견이 많았다. 올해 사업을 위해 지난 2월25일 새로 선정된 대학 중 수도권 대학은 아주대뿐이었다. 그동안 동국대·한양대 등에서도 센터를 운영했지만 지금은 없어졌다.
넷째는 강의 자체의 실효성 문제다. 여성성을 강조하는 강의가 자칫 편견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대학의 여대생커리어개발사업을 위탁받아 운영하는 한 대행사 관계자는 “여성의 성공적인 사회 진출보다는 성차별이나 출산·양육 등 성별 특성에 강의가 편중된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실수요자인 학생들과 취업 컨설턴트들은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기본’부터 다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방 국립대에 다니는 조경윤 씨(24)는 “출석하고 보고서만 내면 1~2학점을 자동 이수할 수 있어 학점을 채우기 위해 참가하는 학생이 많다”고 말했다. 한 취업 컨설턴트는 “여가부가 지원 정책 자체를 재점검하고 기존 취업지원센터와의 시너지를 높이는 방안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진·이도희 한경매거진 기자 sjpark@hankyung.com
"취업률에 큰 도움 안돼"
[ 박수진 / 이도희 기자 ] 정부는 2003년 ‘여대생 취업률 증진’을 위해 새로운 지원정책을 내놓았다. 전국 대학에 여학생을 위한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를 설치해 취업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키로 한 것. 여성가족부(당시 여성부)가 추진하는 이 사업은 연간 5만여명의 여학생이 참여하는 국가 지원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한국경제신문의 격주간 대학생 매거진 ‘캠퍼스 잡앤조이’가 17일자 ‘이슈체크’를 통해 집중 취재한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평가서비스’에 따르면 4년제 대학 여성 졸업생의 취업률은 2003년 50.4%에서 2013년 44.4%로 10년 새 오히려 6%포인트나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남성 졸업생의 취업률은 51.5%에서 47.5%로 4%포인트 하락에 그쳐 남녀 취업률 격차가 더 벌어졌다.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를 운영해 온 대학들이 재신청을 포기하고 중단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올해 재신청을 포기한 A대학 관계자는 “취업률이 기대보다 저조하고 운영상 문제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센터를 운영하는 데 있어 정부가 모르는 고충이 많다”고 하소연했다.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는 전국 각 대학의 신청을 받아 여가부가 심사를 거쳐 매년 지원 대상 학교를 선정한다. 선정된 대학은 연간 5000만원의 지원금을 받아 맞춤형 강의와 합숙캠프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된다. 여가부가 ‘필수’로 제시하는 ‘젠더의식 강화훈련’ ‘직무능력 훈련’ 등도 포함된다. 2003년부터 작년까지 이 프로그램에 투입된 국고는 지난해 13억원 등 총 92억5000만원이다.
대학들이 귀띔하는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의 문제점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지지부진한 여대생 취업률이다. A대학 관계자는 “센터 운영 후에도 취업률은 크게 높아지지 않아 학교 행정부서에서 여대생 취업지원 부문을 다른 팀과 통합해 운영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학은 2003년부터 작년까지 매년 이 센터를 운영해 왔다.
둘째는 국고 지원이 큰 도움이 안 된다는 점이다. 학교에서 자체 충당해야 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지방 소재 B대학의 지난해 센터 운영비를 조사한 결과 약 2억5000만원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고 지원금의 5배가 넘는 금액이다.
셋째는 여학생만을 위한 센터 운영이 부담스럽다는 점이다. 서울·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센터를 새로 만들어 독립 조직으로 운영하기가 벅차다는 의견이 많았다. 올해 사업을 위해 지난 2월25일 새로 선정된 대학 중 수도권 대학은 아주대뿐이었다. 그동안 동국대·한양대 등에서도 센터를 운영했지만 지금은 없어졌다.
넷째는 강의 자체의 실효성 문제다. 여성성을 강조하는 강의가 자칫 편견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대학의 여대생커리어개발사업을 위탁받아 운영하는 한 대행사 관계자는 “여성의 성공적인 사회 진출보다는 성차별이나 출산·양육 등 성별 특성에 강의가 편중된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실수요자인 학생들과 취업 컨설턴트들은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기본’부터 다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방 국립대에 다니는 조경윤 씨(24)는 “출석하고 보고서만 내면 1~2학점을 자동 이수할 수 있어 학점을 채우기 위해 참가하는 학생이 많다”고 말했다. 한 취업 컨설턴트는 “여가부가 지원 정책 자체를 재점검하고 기존 취업지원센터와의 시너지를 높이는 방안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진·이도희 한경매거진 기자 sj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