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첫 주말, 기상청과 민간기상예보사업자 간 ‘수퍼황사 예보’ 논쟁이 신문 지상을 장식했다. 신문들은 다분히 경쟁을 부추기는 식으로 제목을 달아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
예컨대 “기상청 vs 케이웨더 ··· 주말 수퍼황사 예보 승자는?” “‘황사예보’ 기상청이 웃었다” 등이 꼽힌다. 이 같은 기상청과 민간사업자의 논쟁은 지난 2월 적설량 예보에 이어 올 들어서만 벌써 2라운드다.
더욱이 일부 방송의 경우 15여명의 예보관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와 320명이 이르는 기상청의 예보는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라고 말하면서도 기상청이 아닌 민간기상예보사업자의 예보관을 직접 출연 시키거나 전화 연결을 한다.
이를 통해 일기예보는 물론 관련한 전문적인 이론을 국민에게 전달한다. 예로 부터 기상청 내에서 전해지는 예보업무 불문율이 있다. “예보에 장사 없다”는 말이 그것이다. 직책이 높든 낮든, 경험이 많든 적든 어느 누구도 예보를 확보처럼 예측할 수 있는 예보관은 없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상청의 모든 데이터는 일정 금액의 사용료만 지불하면 기상청이 인·허가한 민간기상사업자의 서버에 고스란히 담아진다. 똑같은 자료를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하느냐의 차이기 때문에 민간기상사업자가 예보에 대하여 자신을 갖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기상청이 불특정 다수의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보를 발표한다면 민간기상사업자는 특정지역, 특정인을 위한 산업진흥의 목적으로 예보를 생산해야 한다.
만약 민간기상사업자가 기상청의 목적과 똑같은 이유로 예보를 발표한다면 국민들은 큰 혼란을 겪을 수 밖에 없다. 이번 ‘수퍼황사’ 사태를 비롯해 일부 방송사의 민간기상사업자의 예보관 정기 출연은 이미 혼선을 겪는 사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민간기상사업자는 예보 영역을 관광, 건설, 해양 등 기상과 관련 모든 산업분야의 진흥을 위한 특정지역 즉 국지예보를 상세히 하는 것으로 국한해야 한다. 방송출연을 할 경우에도 기상청이 발표한 종합적 일기예보 경향보다는 국지적, 산업특성에 맞는 일기예보나 이론 설명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기상청이 대국민 기상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민간기상사업자의 영역을 넘지 않도록 노력하는 단서만 있다면 민간기상사업자도 더 이상 불만이 없을 것이다.
기상청인 인·허가한 민간기상사업자는 국내에 여러 업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기업에 국한돼 신문지상에 오르고 방송 출연을 독점한다면 이 또한 온당치 않은 일이다.
이렇듯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기상청, 민간기상사업자, 언론 등 관련분야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해야 한다. 일기예보는 국민들이 매일 접해야 할 생활 기본정보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민간기상예보사 유종인씨 (chinyoo@naver.com)가 한경닷컴 '인터넷실록' 기고 입니다.] 필자 약력 : -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대학원 졸업(이학석사, 해양물리) - 기상청 20년 근무, 제주지방기상청 예보자문관(현)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겸임교수(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