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대 가구주 소비
100만원당 3~5만원 줄어
[ 조진형 기자 ] 30대와 40대 가구주가 10년 전과 비교해 소득 100만원당 각각 5만원, 3만원을 덜 쓴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이후엔 소비 감소폭이 더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증가율이 정체된 상황에서 길어진 수명에 대비하기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는 진단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6일 ‘연령별 소비성향의 변화와 거시경제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10년간 은퇴 연령대의 평균소비성향이 두드러지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평균소비성향이란 가계의 소비지출을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을 뺀 것)으로 나눈 값으로 가계의 ‘씀씀이’를 보여주는 지표다. 평균소비성향이 0.75라면 실질 소득 100만원 중 75만원을 소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3년과 2013년 사이 60대의 평균소비성향은 0.78에서 0.70으로, 70대는 0.94에서 0.76으로 떨어졌다. 60대는 소득 100만원 중 8만원, 70대는 18만원을 각각 덜 썼다는 얘기다. 20대(0.75→0.74)나 30대(0.76→0.71) 40대(0.80→0.77) 50대(0.75→0.71)보다 소비를 더 줄인 것이다. 이로 인해 전체 평균소비성향은 0.78에서 0.73으로 하락했다.
오지윤 KDI 연구위원은 “은퇴 전후 연령대의 소득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며 “늘어난 기대수명에 대비해 노후 자금을 아껴 쓴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40대는 과도한 교육비 부담에 저축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 평균 한국의 40대는 처분가능소득의 약 14%를 교육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40대(2.1%)의 7배 수준이다. 오 연구위원은 “중장년층의 과다한 교육비 지출은 노후 대비를 취약하게 만드는 요인”이라며 “교육비 지출이 높았던 현 30~40대가 고령층이 되는 시기에는 민간소비가 더욱 위축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정부의 소비활성화 대책도 단기적 수요진작 관점보다는 은퇴시기 연장, 과도한 사교육비 축소 등 구조적인 대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