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국 GDP 세계 14위, 5년째 '제자리걸음'…왜?

입력 2014-07-13 16:17  

작년 한국 GDP 세계 14위.

지난해 한국의 경제규모가 세계 14위로, 5년째 제자리걸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한국 GDP 세계 14위는 새 국민계정 기준 채택에도 답보 상태에 빠진 한국 경제의 순위 흐름은 최근 몇년간 구기준과 별 차이가 없는 셈이다.

13일 한국은행과 세계은행의 세계발전지수(World Development Indicators) 자료에 따르면 2013년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1조3045억달러로 전 세계에서 14위를 차지했다.

한국은행이 올해 들어 도입한 새 기준 GDP 기준으로 한국 경제의 세계 순위가 나오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세계은행은 GDP 통계를 1년에 4차례 수정 집계한다"며 "적용 환율은 조금 다르지만 한국의 새 기준 GDP 통계가 반영된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이 서울외환시장의 환율을 적용해 산출한 지난해 한국의 명목 GDP(미국 달러화 기준)는 1조3043억달러였다.

새 기준 GDP는 기준년을 2005년에서 2010년으로 바꾸고 연구개발(R&D) 지출을 무형고정투자(지적재산권)에 편입하는 등 GDP를 늘리는 효과를 냈다.

2010년을 기준으로 볼 때 명목 GDP는 7.8% 증가했다.

그러나 연도별로 순위가 한 단계 정도 차이가 날뿐 순위 흐름에는 별 변동이 없었다.

새 기준으로 한국 경제의 명목 GDP 순위는 2000년, 2001년 각 12위에서 2002∼2004년 각 11위를 거쳐 2005년 10위까지 상승하고서 2006년 11위, 2007년 13위, 2008년 15위까지 하락했다.

이어 2009년 14위를 기록하고는 지난해까지 상승하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을 했다.

앞서 집계된 구기준 한국 경제의 순위도 2008년이후 2012년까지 5년 연속 15위에서 답보 상태였다.

지난해 구기준 GDP는 집계되지 않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경제가 저성장을 거듭해온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세계 각국의 GDP 순위를 보면 미국(16조8000억달러)이 1위였다.

이 어 중국(9조2403억달러), 일본(4조9015억달러), 독일(3조6348억달러), 프랑스(2조7349억달러), 영국(2조5223억달러), 브라질(2조2457억달러), 러시아(2조968억달러), 이탈리아(2조713억달러), 인도(1조8768억달러) 등이 10위권 안에 들었다.

캐나다(1조8251억달러), 호주(1억5606억달러), 스페인(1조3583억달러)은 11∼13위였다.

한국이 답보 상태에 빠지기 시작한 2009년과 작년 순위를 비교하면 중국은 3위에서 2위로 올랐고 브라질(8위→7위),러시아(12→8위), 인도(10→11위) 등도 상승세를 탔다.

특히, 중국은 2009년 4조9902억달러이던 GDP를 85.2%나 늘려 한국과의 격차를 벌렸다.

같은 기간에 순위가 하락한 국가는 장기 불황에서 좀처럼 헤어나오지 못하는 일본(2→3위)과 유럽 재정위기의 타격을 받은 이탈리아(7→9위), 스페인(9→13위) 등이다.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최근 3년간 평균 환율을 적용하는 이른바 '아틀라스(Atlas)' 방식으로 46위(2만5920달러)였다.

나라마다 다른 물가 사정을 계산에 넣어 실제 구매력을 측정하는 구매력평가(PPP) 기준 한국의 1인당 소득은 43위(3만3440달러)였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증권사를 대표하는 상위권 수익률의 합이 110%돌파!! 그 비결은?
[한경닷컴 스탁론] 최저금리 3.5%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컨센서스] 국내 증권사의 리포트를 한 곳에서 확인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