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정부 정보 표준화해 사업에 활용토록
[ 김보영 기자 ] 데이터를 주식처럼 한 곳에서 사고파는 ‘데이터거래소’가 생길까. 미래창조과학부와 SK텔레콤, KT 등 민·관으로 구성된 한국빅데이터연합회는 24일 데이터거래소 설립을 핵심으로 하는 국내 데이터산업 진흥 방안을 논의했다.
데이터거래소는 각 기업과 정부기관 등에서 모은 다양한 데이터의 규격을 맞춰 한 곳에서 매매할 수 있게 한 시스템을 말한다. 증권거래소나 앱스토어처럼 체계화된 데이터 장터를 만들어 누구나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한국에 데이터 거래소가 생기면 세계 첫 사례가 된다.
○데이터 사고파는 장터
한국빅데이터연합회는 이날 첫 조찬토론회를 열고 데이터거래소 설립 계획과 데이터산업 발전전략 등을 논의했다. 연합회는 지난달 29일 미래부가 산·학·연 10개 기관과 단체를 모아 출범시킨 빅데이터 공동 협력단체다. 정부 차원에서 올해를 국내 데이터산업 육성 원년으로 선언한 데 따른 것이다.
이날 데이터거래소 설립 전략을 발표한 김승건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통계정보센터장은 “통신사와 백화점 등 기업이 가진 방대한 데이터는 자사보다 타사에 도움이 되는 사례가 많다”며 “기업 간 데이터를 주고받아 협업을 활성화하려면 데이터거래소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 데이터거래소에 교통 환경 건강 행정 방재 등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를 등록해 놓은 뒤 필요한 사람이 요청하면 돈을 내고 가져가는 것이 핵심 아이디어다. 아이디를 등록하고 데이터를 주문해 받은 뒤 정산하는 방식이다.
데이터거래소가 갖춰야 할 요건은 △데이터의 품질 보증 △계약 이행 보증 △개인정보·지식재산권 문제 해결 등이라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현재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Azure) 데이터마켓이나 국내 데이터베이스스토어처럼 기업·기관별로 각자 만든 데이터 마켓은 이미 있다”며 “데이터거래소를 세우려면 이보다 더 광범위한 거래를 위해 품질 보증 등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연합회는 데이터거래소 설립을 위해 현황 분석부터 포커스그룹 인터뷰, 데이터거래소 모델 타당성 검증 등 장기간의 절차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했다.
○개인정보보호 문제 풀어야
연합회는 재논의와 검토를 거쳐 타당성을 확보하면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데이터거래소 논의가 나온 이유는 현재 유통되는 데이터들의 규격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각 기업과 기관에서 다른 형식의 데이터를 쓰다 보니 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데이터 제공 창구가 일원화되지 않아 데이터 사용자에게 혼란을 준다는 지적도 한몫했다. 김동식 케이웨더 대표(한국DB산업협의회 부회장)는 “‘정부 3.0’ 패러다임을 위해 공공데이터를 개방한다지만 기관별로 하고 있어서 기업이 어디서 데이터를 얻어와야 하는지 혼란스러워한다”며 “정부 예산도 낭비돼 현실적으로 일원화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데이터거래소 설립이 지나치게 거시적으로 접근한 전략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한 IT업계 관계자는 “두 회사의 정보로 시너지를 내려면 개인식별정보를 통해 연결해야 하는데 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불법”이라며 “국민적 공감대를 얻지 못하면 주소 정도밖에 특정을 못하는데, 거래소를 만들어 봐야 크게 쓸모있는 정보가 오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증권사를 대표하는 상위권 수익률의 합이 110%돌파!! 그 비결은?
[한경닷컴 스탁론] 최저금리 3.5%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컨센서스] 국내 증권사의 리포트를 한 곳에서 확인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