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대륙의 역습' …샤오미, 中시장 '왕좌' 오르다

입력 2014-08-14 07:00  

스마트폰·스타트업
김민성 기자의 IT's U

'중국의 애플' 샤오미
2분기 1499만대 판매 1위
비보·오포 등 2세대 주자들
기술력·마케팅 차별화로
삼성전자 점유율 '야금야금'



[ 김민성 기자 ]
샤오미, 비보, 오포. 세계 스마트폰 시장 신흥 강자로 떠오른 중국 2세대 스마트폰 업체들이다. 화웨이 레노버 ZTE 등이 중국 정보기술(IT) 산업 1세대라면 이들은 신진 세력이다. 기술력과 차별화한 마케팅, 서비스 마인드를 앞세워 ‘메이드 인 차이나’ 브랜드 편견을 깨고 있다.

샤오미 부사장으로 영입된 구글 임원 출신 휴고 바라는 최근 “샤오미를 애플의 카피캣(모방제품)이라고 부르는데 넌더리가 난다”며 ‘짝퉁’ 꼬리표를 반드시 떼어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들 3개 기업이 지난해 중국에서 판매한 스마트폰은 모두 3900만대로 한국 시장의 1.6배에 이른다. 이들 2세대 기업의 성장이 가져올 스마트폰 시장의 변화는 예상하기 어려울 정도다.

중국 스마트폰의 환골탈태

중국 2세대 기업을 ‘반짝 스타’로 치부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는 무서운 성장세다. 세계 최대 시장인 안방을 기반으로 성장한 뒤 해외 진출에도 나서고 있다. 글로벌 IT 기업의 각축장인 중국에서 기술 및 마케팅 무한 경쟁을 거치며 탄탄한 내공을 쌓았다. 덕분에 신흥시장 소비자에 대한 이해가 깊다. 신흥시장은 거대 IT 기업 모두 눈독을 들이는 미개척지다. 신흥시장 승자는 향후 세계 스마트폰 시장 판도를 좌우할 수 있다.

‘중국의 애플’로 불리는 샤오미의 성장세는 이미 태풍 수준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캐널리스는 샤오미가 지난 2분기 중국 시장에서 1499만대의 스마트폰을 판매해 시장 점유율 14%로 1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1분기 시장 3위(10.7%)였던 샤오미의 점유율은 석 달 만에 3.3%포인트 뛰었다. 비보, 오포까지 포함한 3사의 시장 점유율 합계는 2012년 4분기 7%에서 올 1분기 18%로 두 배 넘게 성장했다.

반면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였던 삼성전자는 12%로 주저앉았다. 1분기 18.3%에서 6%포인트 이상 점유율이 빠졌다. 삼성전자가 차지한 시장 파이 3분의 1을 샤오미와 비오, 오포 등이 야금야금 가져간 셈이다. 한때 22%까지 차지했던 삼성전자는 2년간의 왕좌에서 퇴장하는 형국이다.

“우린 1세대와는 다르다”

샤오미는 최대 신흥시장으로 부상 중인 인도를 포함해 대만 싱가포르 등 아시아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등 유럽에도 진출했다. 최근 인도에서 스마트폰 Mi3 1만5000대가 2초 만에 다 팔려나가는 기염을 토했다. 애플이나 삼성전자의 스마트폰과 성능 면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면서도 가격은 1만3999루피(약 23만원)로 저렴하다. 2만8000루피인 삼성 갤럭시S4의 반값이다.

마케팅 전략도 세련됐다. 2초 만에 ‘완판’한 비결은 일정 물량을 제한된 시간에 온라인에서만 판매하는 ‘헝거 마케팅(hunger marketing)’ 때문이었다. 입소문이 빠르게 확산되는 온라인에서 수요보다 물건 수를 적게 풀어 누구나 갖고 싶도록 만드는 전략이다. 소셜커머스처럼 파격적으로 싼 가격에 단숨에 판매할 수 있다. 지난해 11월 Mi3 첫 출시 때는 모바일 메신저 위챗을 통해 10분 만에 15만대를 팔아치웠다.

샤오미가 스마트폰을 싸게 파는 이유는 다른 데 있다. 지난해 린빈 샤오미 공동 창업자는 “하드웨어로 돈을 벌 생각이 없다”고 했다. 수익원은 하드웨어가 아닌 서비스라는 설명이다. 서비스는 샤오미가 개발한 운영체제(MiUI)나 메신저 미톡(MiTalk), 그리고 스마트폰 및 관련 액세서리, 게임, 애플리케이션(앱)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장터다. 스마트폰은 남기는 것 없이 싸게 파는 대신 샤오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화 서비스를 대거 확보해 고객 충성도와 매출을 함께 높인다. 이른바 트라이애슬론 전략. 철인 3종 경기라는 뜻처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온라인 서비스를 한 데 꿰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맞춘 상품 세분화(세그멘테이션) 전략도 주목할 만하다. 샤오미, 오포, 비보 등이 빠르게 성장한 공통 배경은 적극적인 고객 맞춤형 전략이었다. 스마트폰 카메라나 음질 등 이용도가 높은 기능을 고급화하고, 여성이나 디지털 네이티브(디지털 사용에 익숙한 젊은 층)를 직접 겨냥한 제품 세분화 전략을 펼치는 것이다. 삼성전자 애플 등 선도 업체를 모방하는 게 아니라 ‘마이크로 타기팅(micro-targeting)’을 통해 자신들만의 시장을 개척하는 중이다. 최근 LG경제연구원은 2세대 기업의 경쟁력을 조목조목 분석했다. 요약하면 중국 스마트폰에 대한 편견을 버려야 할 때라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까지만 해도 전자제품 구매 시 중국 소비자의 85%는 글로벌 기업 제품을 선호했다. 품질 때문이었다. 중국 기업이 만든 자국 스마트폰은 구매 1년이 되기도 전에 고장나기 일쑤라는 실망이었다.

그러나 최근 중국 소비자도 2세대 기업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 중국 브랜드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는 2012년 초 20% 수준에 불과했지만 이제 50%까지 성장했다. 자국 제품에 대한 충성도 및 신뢰도가 동시에 상승하고 있다.

김민성 기자 mean@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