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복지예산은 115조 7000억원 규모로 전체 예산의 30.8%다. 처음으로 30%를 넘었다. 물론 지자체들은 이미 예산의 50% 이상을 복지에 쓰는 곳이 대부분이다. 4대 공적 연금에 대한 지출도 지난해보다 10% 이상 증가했다. 누리과정(만 3~5세 영유아 무상보육)을 위해 각 지자체에 우회 지원하는 국고가 5064억원 더해졌다. 무상급식과 무상보육에 대한 논란은 이번 예산에서 해소된 것이 없다. 공무원 연금 개혁에 대한 어떤 합의도 없이 구멍난 만큼 이번에도 국고에서 부담하고 있다.
복지에 신경쓰다 보니 결국 세수가 부족하게 되고 이를 기업에 부담시킨 것이 이번 예산의 특징이다. 대기업에 대한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 기본공제를 폐지했고 연구개발 세액공제의 당기분 공제율을 끌어내렸다. 이렇게 해서 얻는 세수가 5000억원 정도라고 한다. 사실상 증세인 셈이다. 물론 이 돈은 상당수 복지 예산으로 들어간다. 경제는 내수 침체 등 대내외 여건의 악화와 각종 규제로 인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내년 살림살이를 제대로 짜지 못하고 있는 기업이 대다수다. 이런 현실을 외면한 채 예산은 복지만 수용하고 만 셈이다. 국회의 예산심의권이 과도하게 행사된다는 지적은 그대로 남았다. 밀실 야합 예산, 쪽지예산도 그대로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