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여곡절 끝에 올해 7월25일부터 기초노령연금제도가 시행됐다. 최근 불 붙은 공무원연금 개혁은 군인연금과 사학연금으로 번질 분위기다. 얼마 전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생명표’에 따르면 한국 사람의 기대수명은 82세(남자 78.5세, 여자 85.1세)로 10년 전보다 4.5년이나 늘었다. 고령화 문제는 우려를 더하며 우리 사회 각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루가 멀다 하고 노후 준비에 대한 경고성 내용들이 언론상에서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다. 하지만 높은 걱정에 비해 차분하게 대비하는 모습은 잘 보이지 않는 듯하다. 특히 경제활동의 중추를 담당하는 30·40대의 절반 이상이 노후 준비를 시작조차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엇이 이들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일까.
30·40대는 결혼과 출산을 지나 ‘자녀 성장기’에 접어드는 시기다. 자산과 함께 수입도 늘어나지만 자녀 교육비와 양육비, 주택 관련 소비가 함께 증가하는 만큼 노후 준비에 엄두를 못 낼 수도 있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노후 준비 방식을 바꿔 본다면 좋은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1990년대가 저축만 꾸준히 하면 노후 걱정이 필요 없던 시기였다면, 2000년대는 재테크 열풍과 함께 목돈을 모으는 저량(stock) 개념의 노후 준비가 주목받았다. 하지만 2010년대로 접어든 이후 저금리의 장기화로 노후 준비가 충분치 않게 되자 ‘매월 안정적인 현금 흐름 확보’라는 유량(flow) 개념의 노후 준비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자연스레 연금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대표적인 연금을 통한 노후 준비 형태가 3층 보장론이다.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개인연금을 통해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하는 방법이다. 여기에 주택연금과 일을 통한 수입 창출을 더해 5층 보장론이 오늘날 노후 준비의 대세를 이루고 있다.
국민연금은 30·40대 노후 준비의 초석이라 할 수 있다. 소득대체율이 점점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기금 고갈 문제가 대두되고 있지만 국가가 지급을 보장하고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는 유일한 연금이기도 하다. 최근 정부의 ‘사적연금 활성화 대책’으로 퇴직연금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기존에는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에 400만원 한도로 12%의 세액공제 혜택을 부여했다. 하지만 이제 퇴직연금의 추가 납입분 300만원을 포함해 700만원까지로 혜택이 커졌다.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보완해주는 개인연금 가입도 고려해야 한다. 직장인인 경우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연금저축보험에 반드시 가입하고, 시중금리 이상의 수익을 원한다면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돌려주는 실적배당형 상품인 ‘변액연금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이 밖에 주택연금과 농지연금 등 개인의 상황에 맞는 연금제도를 추가로 활용하고 생계를 위한 일이 아닌 자신이 하고 싶었던 일을 찾아 부수적으로 일정 정도의 수입을 얻을 수 있다면 탄탄한 5층 보장체계를 완성할 수 있다.
하지만 노후 준비를 생활비 마련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자칫 큰 낭패를 가져올 수도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내놓은 ‘우리나라 건강수명 산출 보고서’에 따르면 질병 없이 건강하게 사는 기간은 70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고액의 치료비나 간병비가 필요한 질병에 대한 대비도 잊지 말아야 한다.
노후 준비는 운 좋으면 피해갈 수 있는 경우의 수도 아니며 패자부활전이 허용되지도 않는다. 제대로 된 노후 준비의 골든 타임은 바로 지금이다.
김경환 < 교보생명 광주노블리에센터 WM >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