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가 영역파괴 '바람'②]기존 유통 채널들의 '반격'…그로서란트·PB상품 '강화'

입력 2015-01-07 10:33  

유통업계의 영역파괴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스마트폰 확산으로 모바일 시장이 확대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바일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불황이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의 가치소비 성향은 더 강해졌다.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해외 직접구매가 늘어나고 있고 중국인 관광객(요우커)를 필두로 한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 등 국경도 무너지고 있다. 이 같은 영역 파괴와 융합이 유통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4편에 걸쳐 알아본다. [편집자주]

영역파괴.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기존 유통 채널들이 변화하고 있다. 온라인과 모바일 등 신(新)채널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시장 영역을 확대 중이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은 자신들만의 특색을 살린 판매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떠나가는 소비자들의 발길을 돌리기 위해서다. '그로서란트'와 자체브랜드(PB) 상품 강화가 대표적이다.

◆ 백화점 식품매장의 변화 왜?…"맛집·식품, 연계 매출 노리는 무기"

그로서란트는 식료품점(Grocery)과 음식점(Restaurant)의 콘셉트가 합쳐진 복합식품매장이다. 다양한 농축수산물을 판매하고, 그 식재료를 이용한 음식을 그 자리에서 맛볼수 있다.

한우 등심을 구입하면 바로 옆에서 전문 요리사가 등심 스테이크를 바로 만들어주는 식이다. 식료품점과 음식점의 경계가 없다.

라디오 방송국에서 프로듀서(PD)로 일하고 있는 김우종 씨(32·가명)는 "신세계 본점이 회사 근처라 지하 식품관을 종종 가는데, 지난해 '푸드마켓'으로 바뀌면서 이제는 더 자주 방문하게 됐다"며 "쇼핑을 하고 있는데 옆 테이블에서는 식사를 하고 있어서 처음에는 다소 혼란스럽기도 했지만, 지금은 재미있고 효율적인 공간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 8월 본점 식품관을 9년 만에 재개장했다. 유기농 식재료와 전통식품을 파는 떡방, 장방, 술방 등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식음료들을 매장에 들였다. 푸드코트인 '그래머시홀'도 새로 열었다. 자리를 안내받은 뒤 테이블에서 주문과 계산을 한번에 한다.

기존 백화점들의 지하 식품매장은 식재료를 사는 공간과 음식을 사먹는 자리가 뚜렷하게 구분돼 있었다. 그러나 신세계뿐 아니라 다른 국내 유명 백화점들도 모두 변화하고 있다.

국내 백화점 중 가장 먼저 그로서란트를 도입한 것으로 평가받는 곳은 한화 갤러리아다. 2년 점부터 갤러리아 명품관의 식당가인 '고메이 494'를 운영 중이다.

정육 코너에서 구입한 소고기를 바로 조리해주고, 구매한 농산물은 무료로 세척·손질해준다. 고구마·감자 등은 즉석에서 굽거나 쪄서도 판매한다.

고메이 494는 이름에 걸맞게 유명한 맛집과 주방장들의 음식도 내놓았다. 스시마츠모토(초밥)·카페마마스(샌드위치)·디부자(피자)·비스데까(스테이크)·바토스(멕시칸) 등이다. 국내외 흩어져 있는 지역별 맛집들을 한 자리에 모은 것. 특히 소비자가 음식을 주문하면 위치인식이 가능한 번호표(스마트 파인더)를 통해 직원이 현 위치를 파악, 주문한 음식을 직접 가져다준다.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의 슈퍼마켓도 지난달 1일 재개장했다. 연어 편집숍과 수제 치즈 매장, 유럽형 정육점인 델리카트슨, 영국 식품 브랜드인 막스앤드스펜서 등으로 차별화를 시도했다. 재개장 후 슈퍼마켓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3%나 증가했다.

롯데백화점도 지난 10월 에비뉴엘 월드타워점에 이탈리아 식품 편집매장인 펙(peck)을 운영한다. 이탈리아 정통 파스타면과 소스 등 고급 식재료로 월 평균 1만명 이상의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서용구 한국유통학회장은 "백화점들 식품관의 변화는 단순히 '먹는 장사'를 강화하는 차원이 아니다"며 "온라인 채널에 맞서 '지금 이곳에서만 살 수 있는 것'이라는 차별화를 통해 다른 상품과 연계 매출을 높이는 강력한 무기"라고 분석했다.

◆ 대형마트, PB상품 '먹고 마시고 입고'…품질·가격 뛰어나

지난해 크라운제과(해태제과)는 허니버터칩으로 잠잠했던 시장에 돌을 던졌다. 품귀 현상부터 '끼워팔기' 논란을 부르더니 결국 농심, 오리온 등 다른 경쟁자들이 앞다퉈 비슷한 상품을 내놓으며 '감자칩 전쟁'까지 일으켰다.

그런데 제과업체들의 감자칩 전쟁에 이마트가 끼어들었다. 시장 변화에 편승한 정도가 아니라 한꺼번에 4개 제품을 내놓으며 한복판에 뛰어들었다.

이마트는 지난달 22일 내놓은 랍스터 맛, 칠리 맛, 치즈·양파 맛, 후추 맛 등 4개 감자칩은 '피코크 프리미엄 포테이토칩'이다. 피코크는 이마트의 식품 관련 PB상품이다. 이마트가 기존 제과업체들에 맞서 감자칩 전쟁에 뛰어들 수 있었던 이유다.

PB상품은 강력한 을 갖고 있는 유통업체가 직접 상품을 기획·제조한 상품이다. 대형마트들이 PB상품을 확대하는 것은 신속한 시장 대응이 가능하고 강력한 유통·판매망과 가격 경쟁력까지 갖췄기 때문.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대형마트의 PB상품은 제조업체상표(NB) 상품보다 최대 60%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근당건강의 '6년근 홍삼정'운 10g당 8250원이었지만 종근당건강이 생산해 이마트에 납품한 PB상품인 '이마트 6년근 홍삼정'운 10g당 4125원이었다. 같은 업체가 같은 성분으로 만들었지만, NB상품보다 PB상품이 두 배나 저렴했다.

이 외에도 주원료 함량이 비슷한 20개 PB 상품이 NB 상품보다 평균 28.5% 가격이 낮았다. 최대 60.2% 싼 품목도 있었다. 삼육우유의 '검은콩 두유'(100mL당 435원)와 삼육두유가 제조한 이마트의 PB제품 '검은콩 참깨두유'(100mL당 173원)는 가격 차이가 60%나 났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대량구매와 중간 유통과정 생략에 따른 물류비 절감으로 PB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지면서 비슷한 품질이지만 NB상품보다 PB상품이 더 저렴해지는 경우들이 생긴다"고 말했다.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등 대형마트들은 기존 20~30%선의 PB상품 비율을 차차 40~50%선까지 끌어올려간다는 계획이다.

지난 2006년 신선식품·주방용품 PB상품을 선보였던 이마트는 의류·신선·주방·잡화 등 1만8000여개 PB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매출 비중은 지난해 22%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롯데마트와 홈플러스 역시 PB상품의 매출 비중이 25%선을 기록했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