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제1회 대학교육혁신포럼
학령인구 감소·인터넷강의 확산…3~4년안에 특성화 못할땐 서울권 대학도 생사기로 설것
혁신으로 해법찾는 대학들…한양대, 클러스터사업 눈길…한동대, 담임교수제 롤모델
[ 임기훈 기자 ]
“대학들이 앞으로 3~4년 내에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대비를 끝내지 못하면 서울에 있는 지명도 높은 대학도 학생 수가 부족해지는 이른바 ‘싱크홀’ 현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서남수 전 교육부 장관은 13일 서울 명륜동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이 학교 대학교육혁신센터 주최로 열린 제1회 대학교육혁신포럼의 기조연설자로 나서 대학의 혁신과 변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서 전 장관은 “앞으로 3~4년의 ‘골든타임’을 놓치면 대비를 하려고 해도 불가능한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학 교육의 질 높여야 생존
서 전 장관은 대학이 직면한 위기의 원인으로 국내외 교육 환경의 빠른 변화를 꼽았다. 그는 “전 세계 유명 대학들이 인터넷에 강의를 공개하고 국내 학령인구는 빠르게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5~10년 내에 국내 고등교육의 지각변동을 가져올 대변혁의 시기가 찾아올 것”이라며 “일부 대학엔 생존이 달린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대학이 어떻게 혁신을 할 것인가는 다급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서 전 장관은 대학과 고등교육의 수요자인 학생의 위치가 바뀔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까지 고등교육에 대한 초과 수요가 있었기 때문에 국내 고등교육이 발전해 왔지만 이제는 학생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대도시에서 먼 대학 중 일부는 특단의 대책이 없다면 생존을 걱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우선 대학 교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학교가 끊임없이 강의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해 강의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학이 정부의 정책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정부 정책을 각 대학의 특성에 맞게 잘 활용할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대학들이 정부의 각종 특성화 사업을 따내고 정부가 선정하는 대학에 포함돼 재정 지원을 받는 것에만 신경을 쓰는 것은 수단과 목적이 바뀐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학혁신 성공 사례 공유
이날 포럼에서는 건양대, 한동대,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등 5개 대학 운영 및 구조 혁신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정영길 건양대 부총장은 “학생 수 감소에 대비해 2000년 중반 특성화 교육을 도입했다”며 “2004년 전국 최초로 취업 지원을 위한 전용 건물을 마련해 진로 지도와 취업 상담, 취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건양대는 지난해 교육부가 선정한 네 개의 대학 지원 국책사업에 모두 뽑혔다.
한동대는 독특한 교육 커리큘럼으로 관심을 모았다. 한동대는 100% 영어로 진행되는 과정과 학생들의 진로는 물론 개인적인 일까지 상담할 수 있는 담임교수제를 소개했다. 또 한동대만의 독특한 입학제도인 무전공 무학부 입학을 통해 학생 자신이 원하는 전공을 찾는 과정도 관심을 끌었다. 한양대 에리카캠퍼스는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한 활발한 산학협력과 이를 통해 파생된 클러스터 사업을 제시했다.
대학별로 운영 중인 혁신적인 교육모델에 대한 사례도 발표됐다. 성균관대 융합기반 크리에이티브 인포매틱스(creative informatics) 인재양성 사업단은 글로벌 리더를 양성할 목적으로 추진 중인 특성화 사업 ‘성균 C-스쿨’의 개념과 교수법, 학습법 등을 알렸고, 서울과학기술대 21세기 다빈치형 인재양성 사업단은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사례를 공유했다. 배상훈 성균관대 대학교육혁신센터 센터장은 “대학들이 자율적으로 혁신사례를 공유하고 공부하는 것이 앞으로 대학들의 자생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