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학년도 정시모집에서는 전체 대입정원의 약 33.3%인 12만1561명을 선발한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정시 모집인원이 1만4213명 감소한 것이다. 물론 수시모집 미등록으로 약간의 인원이 정시로 이월되지만, 해마다 서울 주요 대학 합격자의 약 40~60% 이상이 재수생인 점을 감안하면 올해 고3 수험생이 정시로 대학가기는 녹록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예전에는 수도권 소재 대학들이 정시모집 일반전형으로 최소 30~50%까지 학생부 성적을 반영했지만 최근엔 학생부 성적을 30% 이상 반영하는 대학을 찾기 힘들어졌다. 정시에서는 그 어떤 전형요소보다 수능의 영향력이 합격의 당락을 좌우하는 절대적 기준으로 확실히
자리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구나 수능은 수시모집에서도 주요 대학들의 최저학력기준으로 적용되므로 수험생들은 월별로 실시되는 모의고사를 중심으로 실전과 같이 연습하면서 성실히 대비해야 한다.
1. 149개 대학, 수능 80% 이상 반영
올해 수능 100%를 반영하는 대학이 95개교 隔? 80% 이상 100% 미만 반영하는 대학은 54개교로 수능 80% 이상 반영 대학이 총 149개교다. 정시모집에서는 수험생의 전국적인 성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능성적을 절대적인 평가기준으로 생각한다는 점을 명심하자. 아울러 수시모집에서도 수능은 수시 최저학력 기준으로 적용되는데, 작년과 비슷하거나 완화시킨 대학이 많지만 명문대와 상위권대를 중심으로 전년도보다 더 까다로워진 대학도 적지 않다. 물론 수능 최저기준이 높을수록 조건만 충족된다면 합격할 가능성은 훨씬 높아진다는 점도 유념해 둬야 한다. 정리하자면 올해 수시, 정시를 포함한 대입에서 수능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2. 서울 주요 대학 가·나군 선발 많아
정시모집에서 모집군별로 대학 수와 선발 인원을 살펴보면 가군은 138개 대학 4만5376명, 나군은 140개 대학 4만7737명, 다군은 121개 대학 2만8448명을 선발한다. 수험생들의 관심이 높은 서울 소재 주요 대학은 가, 나군에서 주로 많이 모집하기 때문에 수험생도 지망대학의 합격을 우선 가, 나군에 중점을 두고 지원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다. 다군은 가, 나군에 비해 우선 모집인원이 적고 지원할 대학도 많지 않아 합격 예측을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대학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다군에서는 가, 나군 합격자가 이동하기 때문에 모집인원의 2~3배수 이상의 예비합격자 번호를 받더라도 추가로 합격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에 반해 가, 나군 모집대학의 추가모집 합격비율은 평균적으로 모집정원의 20~30% 정도다.
3. 모집군 확대·축소 합격선 영향
정시에서 분할모집을 실시하는 대학은 전년도와 비슷하다. 작년부터 정시 분할모집 실시대학이 축소됐는데 이는 동일 모집단위에서 모집군 간 분할모집이 금지됐기 때문이다. 단, 입학정원 200명 이상만 2개군까지 분할모집이 가능한데 이 제도도 2017학년도부터 금지될 예정이다.
올해 입시를 치르는 수험생은 정시에서 자신의 지망대학이 어느 군에 속해 있는지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각 대학의 모집군 변경은 해당 대학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대학까지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망대학의 모집군 변경뿐만 아니라 경쟁관계에 있는 대학에 대한 모집군 변경도 세밀하게 살펴보는 것이 좋다.
금년도에는 성균관대서울시립대한양대 등 40개교가 가·나군, 인천대삼육대 등 23개교가 가·다군, 동덕여대상명대홍익대 등 27개교가 나·다군, 건국대중앙대한국외국어대 등 51개교가 가·나·다군 분할모집을 실시한다. 정시 모집군의 확대 및 축소는 합격선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일반적으로 모집군이 늘어나면 선발 인원은 감소하기 때문에 합격선이 상승하는 효과를 보이고, 반대로 모집군 축소는 선발인원이 늘어나 합격선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의하자.
4. 3월 모의고사로 취약영역 파악
얼마 전 치러진 3월 모의고사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취약 영역과 단원을 확인해 부족한 부분을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 모의고사 성적이 穗肉?미치지 못했다고 해서 너무 낙심하지 말고 오는 6월에 실시되는 평가원 모의고사를 목표로, 제 실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수능 출제기관인 교육과정평가원 주관의 모의고사는 6월4일과 9월2일 두 차례에 걸쳐 시행되는데 이때는 고3 재학생뿐만 아니라 재수생들도 모두 참가하므로 어느 정도 자신의 전국적인 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확인해볼 수 있다. 3월 모의고사 결과는 수능 영역별로 현재 자신의 취약영역을 살펴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정시 지원가능권 대학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는 참조용으로만 활용하도록 하자. 실제 수시와 정시 중 어느 모집 시기에 초점을 맞출지는 평가원 모의고사 결과를 중심으로 결정하는 것이 좋다.
5. 모의고사 등급·백분위로 성적분석
모의고사는 고3 재학생의 경우 교육청과 평가원, 재수생은 사설 모의고사와 평가원이 시행하는 모의고사를 응시한다. 따라서 재학생과 재수생이 모두 응시하는 평가원 모의고사 성적을 중심으로 자신의 객관적인 위치와 지원가능대학을 선별하는 것이 좋다. 성적표는 원점수, 등급, 백분위, 표준점수가 모두 표기되는데 전국 응시생 중 자신의 위치를 판별하는 등급과 백분위를 중심으로 자신의 성적을 가늠해야 한다.
시험난이도와 응시자 수에 따라 원점수와 표준점수는 변폭이 심하기 때문이다. 또한 수시 지망대학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에 맞춰 모의고사 직전 국·수·영 합 5등급, 국·수·영·탐 합 6등급 등으로 목표를 설정해 놓고 공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6. 학생부종합·실기전형 선발
수시모집에서는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논술(적성), 실기전형 등 크게 4개 전형으로 신입생을 선발한다. 반면 정시는 수능전형만 신입생을 선발하는 걸로 오해하는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적지 않은데 소수를 모집하긴 하지만 정시에서도 학생부중심전형과 여러 실기(특별)전형을 실시하는 대학이 많다. 대다수 대학은 고른기회, 농어촌, 특수교육대상자, 특성화고교졸업자 등 지원자격에 제한이 있는 전형들을 개설해두고 있는데 전형방법이 수능성적뿐만 아니라 학생부성적과 서류평가 등을 통해 선발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추후 지망대학의 정시요강을 꼼꼼히 살펴본 뒤 지원자격 조건이 자신에게 부합되는지 검토해봐야 한다.
대입상담 예약 (02)305-2048
이동훈 < 생글대입컨설팅소장 cezar01@naver.com >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