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의 양면, 현명한 선택이 필요하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은 올해 이용률이 급증할 것 같은 시장 1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존의 전달지 배포 방식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메뉴 탐색, 주문, 결제가 가능하고 소비자들의 후기나 평점을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한 앱의 등장에 소비자들은 열광했다. 이런 뜨거운 인기를 실감하듯 2010년 ‘배달통’을 시작으로 ‘배달의 민족’ ‘요기요’ 등 다양한 회사들이 뛰어들었다. 치열한 경쟁으로 소비자들을 끌어오려는 회사들의 경쟁은 수수료 인하에서부터 독특하고 기억에 남는 광고전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배달 앱 회사들의 주 수익원은 광고비와 결제 수수료다. ‘배달의 민족’은 기본 서비스로 월 광고비 3만3000~5만5000원을 주문 건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납부받는다. ‘바로결제’ 서비스까지 이용한다면 건당 13.75%의 수수료를 추가로 부과키로 최근 결정했다. 고객이 1만원의 음식을 앱을 통해 결제하면 1400원가량이 배달 앱 측에 돌아가는 것이다. 광고비가 따로 없는 ‘요기요’의 경우에도 주문 건수에 따라 12~18%의 기본 수수료를 부과한다. 앱을 통해 결제한다면 건당 3.6%의 추가 수수료가 붙게 돼 1만원의 음식을 결제했을 때 적게는 1600원에서 많게는 2200원가량이 배달 앱의 몫이 된다.
외식업체들은 원재료비와 인건비를 제외하면 평균 30%의 매출 이익을 갖는다. 하지만 배달 앱 서비스에 사용하면서 가입비와 결제 수수료를 지급하게 되자 상인들은 순수익이 감소해 버렸다. 이런 상황에도 소비자들이 배달 앱을 통해서 주문하는 일이 많아져 단골손님의 이동을 의식해 서비스 해지는 꿈도 꾸지 못한다. 하지만 결국 감소한 순수익은 음식의 양과 질의 하락으로 이어진다. 배달 앱을 통해 주문한 고객들에게는 서비스 음식을 주지 않거나 양을 줄여서 판매하는 것으로 부족한 순수익을 메우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등장하는 앱들은 사정이 달라졌다. 배달음식협회가 만든 ‘디톡’이라는 앱의 경우 수수료를 아예 없애고 월 1만500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의 회비만을 받아 운영된다. 중소기업청의 지원이 더해지며 최근에는 7만개가 넘는 업체가 가입을 해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작년 10월 출시된 ‘샤달’은 “과한 수수료로 인한 식당가의 부담을 줄이자”는 목적으로 시작돼 수수료와 결제시스템 없이 꼭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앱이다.
그러나 이런 수수료 문제는 소비자들에게는 금전적인 손실을 미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수수료는 음식점과 서비스업체 간의 문제일 뿐 소비자들은 어떠한 앱을 사용하더라도 수수료를 추가로 납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이용이 상인들에게 피해가 간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금만 더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하지 않을까?
금경원 생글기자(동아마이스터고 2년) kwkum@naver.com
수학교육 딜레마…기본수준만 배우자?
정권이 바뀔 때마다 통치자의 정치 이념에 따라 각종 제도들이 요동을 친다. 얼마 전 교육부의 수학 교육 방안이 발표됐다. 문제 풀이 위주의 어려운 수학 교육을 지향하고 실생활과 연계된 흥미 있고 쉬운 교육으로 전환하겠다는 취지다. 수능과 대학 입시가 최대 현안인 우리는 교육부의 이번 발표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 쉽고 재미있는 수학을 해서 목표하는 대학을 갈 수 있는 현실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한편에선 수능의 변별력을 논하고 무더기 만점을 지향한다는 발표를 하고, 다른 한편에선 사교육 억제와 공교육 정상화를 외치지만 입시를 준비하는 우리의 입장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더 난도가 높은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을 갖고자 사교육에 올인한다.
2014년 모의고사 기준 고등학교 수학 평균 성취도는 50%를 넘지 못하고 있다. 학생 중 절반은 수학을 포기하고 다른 과목으로 목표를 전환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포기할 수밖에 없는 50%의 학생을 구제할 수 있는 방안은 없는 것인가?
전문적인 연구분야에 종사하는 일부를 제외하면 입시가 끝나고 실생활에서 미분과 적분을 응용하면서 살아가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고차원의 단원들은 대학에서 전공자들의 몫으로 남겨두고 초·중·고 과정의 수학은 좀 더 실생활과 밀접한 단원들을 중점적으로 교육해서 그 안의 변별력으로 수능과 대학 입시의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면 우리 모두가 사교육 시장으로 올인하는 모순을 격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은 올해 이용률이 급증할 것 같은 시장 1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존의 전달지 배포 방식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메뉴 탐색, 주문, 결제가 가능하고 소비자들의 후기나 평점을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한 앱의 등장에 소비자들은 열광했다. 이런 뜨거운 인기를 실감하듯 2010년 ‘배달통’을 시작으로 ‘배달의 민족’ ‘요기요’ 등 다양한 회사들이 뛰어들었다. 치열한 경쟁으로 소비자들을 끌어오려는 회사들의 경쟁은 수수료 인하에서부터 독특하고 기억에 남는 광고전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배달 앱 회사들의 주 수익원은 광고비와 결제 수수료다. ‘배달의 민족’은 기본 서비스로 월 광고비 3만3000~5만5000원을 주문 건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납부받는다. ‘바로결제’ 서비스까지 이용한다면 건당 13.75%의 수수료를 추가로 부과키로 최근 결정했다. 고객이 1만원의 음식을 앱을 통해 결제하면 1400원가량이 배달 앱 측에 돌아가는 것이다. 광고비가 따로 없는 ‘요기요’의 경우에도 주문 건수에 따라 12~18%의 기본 수수료를 부과한다. 앱을 통해 결제한다면 건당 3.6%의 추가 수수료가 붙게 돼 1만원의 음식을 결제했을 때 적게는 1600원에서 많게는 2200원가량이 배달 앱의 몫이 된다.
외식업체들은 원재료비와 인건비를 제외하면 평균 30%의 매출 이익을 갖는다. 하지만 배달 앱 서비스에 사용하면서 가입비와 결제 수수료를 지급하게 되자 상인들은 순수익이 감소해 버렸다. 이런 상황에도 소비자들이 배달 앱을 통해서 주문하는 일이 많아져 단골손님의 이동을 의식해 서비스 해지는 꿈도 꾸지 못한다. 하지만 결국 감소한 순수익은 음식의 양과 질의 하락으로 이어진다. 배달 앱을 통해 주문한 고객들에게는 서비스 음식을 주지 않거나 양을 줄여서 판매하는 것으로 부족한 순수익을 메우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등장하는 앱들은 사정이 달라졌다. 배달음식협회가 만든 ‘디톡’이라는 앱의 경우 수수료를 아예 없애고 월 1만500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의 회비만을 받아 운영된다. 중소기업청의 지원이 더해지며 최근에는 7만개가 넘는 업체가 가입을 해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작년 10월 출시된 ‘샤달’은 “과한 수수료로 인한 식당가의 부담을 줄이자”는 목적으로 시작돼 수수료와 결제시스템 없이 꼭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앱이다.
그러나 이런 수수료 문제는 소비자들에게는 금전적인 손실을 미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수수료는 음식점과 서비스업체 간의 문제일 뿐 소비자들은 어떠한 앱을 사용하더라도 수수료를 추가로 납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이용이 상인들에게 피해가 간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금만 더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하지 않을까?
금경원 생글기자(동아마이스터고 2년) kwkum@naver.com
수학교육 딜레마…기본수준만 배우자?
정권이 바뀔 때마다 통치자의 정치 이념에 따라 각종 제도들이 요동을 친다. 얼마 전 교육부의 수학 교육 방안이 발표됐다. 문제 풀이 위주의 어려운 수학 교육을 지향하고 실생활과 연계된 흥미 있고 쉬운 교육으로 전환하겠다는 취지다. 수능과 대학 입시가 최대 현안인 우리는 교육부의 이번 발표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 쉽고 재미있는 수학을 해서 목표하는 대학을 갈 수 있는 현실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한편에선 수능의 변별력을 논하고 무더기 만점을 지향한다는 발표를 하고, 다른 한편에선 사교육 억제와 공교육 정상화를 외치지만 입시를 준비하는 우리의 입장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더 난도가 높은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을 갖고자 사교육에 올인한다.
2014년 모의고사 기준 고등학교 수학 평균 성취도는 50%를 넘지 못하고 있다. 학생 중 절반은 수학을 포기하고 다른 과목으로 목표를 전환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포기할 수밖에 없는 50%의 학생을 구제할 수 있는 방안은 없는 것인가?
전문적인 연구분야에 종사하는 일부를 제외하면 입시가 끝나고 실생활에서 미분과 적분을 응용하면서 살아가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고차원의 단원들은 대학에서 전공자들의 몫으로 남겨두고 초·중·고 과정의 수학은 좀 더 실생활과 밀접한 단원들을 중점적으로 교육해서 그 안의 변별력으로 수능과 대학 입시의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면 우리 모두가 사교육 시장으로 올인하는 모순을 격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