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블화 폭락에 가격 떨어져
일부 제품은 중국산보다 싸
유럽·동남아·인도로 수출 확대
포스코 등 국내기업 타격 심각
[ 김보라 기자 ] 세계 철강업계가 이번엔 ‘러시아 공포’에 휩싸였다. 화폐 가치 폭락으로 수출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산 철강이 각국에 물량 공세를 펼치고 있어서다.
수년째 중국발 공급 과잉에 시달리고 있는 철강시장에 러시아마저 가세하면서 2009년 이래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은 철강 가격은 앞으로 더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포스코 등 국내 철강기업도 타격을 받고 있다. 노민용 포스코 재무실장(상무)은 지난달 21일 1분기 실적 발표회에서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러시아산 저가 철강이 유입되면서 인도네시아 법인이 예상보다 큰 적자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중국산보다 싼 러시아산 철강
러시아는 작년 말 기준 세계 철강 수출시장의 16%를 장악하고 있다. 중국(26%)에 이어 세계 2위다. 중국의 지난해 조강생산량은 9억3780만t, 러시아는 4억6400만t을 기록했다. 철강산업 연구기관 CRU에 따르면 핫코일 등 일부 러시아산 철강은 t당 435달러로 중국산보다 10달러 이상 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중국산 철강은 그동안 업계 평균 가격보다 t당 5달러 낮은 가격에 유통됐다. 영국 철강전문연구기관 MEPS의 제레미 플랫 애널리스트는 “유럽 기업에 지금 가장 매력적인 건 러시아산 철강”이라며 “조만간 가격면에서 중국산을 제칠 가능성도 높다”고 분석했다.
러시아산 철강은 그동안 유럽 지역에서 주로 소비됐다. 운송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 때문이다. 지난해 러시아 루블화와 우크라이나 흐리브냐화 가치가 반 토막 난 탓에 최근에는 동남아시아와 인도 지역까지 파고들었다. 에브라즈, NLMK 등 러시아 철강회사들은 수출량 기준으로 지난해 아르셀로미탈, 포스코 등 글로벌 상위 업체들을 제쳤다.
◆보호무역주의 거세…한국만 ‘뒷짐’
당분간 철강시장 공급 과잉은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은 올 1분기 조강생산량이 20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지만 내수 부진으로 수출 물량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저가 철강 유입으로 무역보호주의도 거세지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최근 철강 완제품 수입물량에 26%의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인도 JSW스틸, 진달스틸앤드파워 등 중소 철강업체는 철강 수입관세 인상을 요구했고, 인도 정부는 10% 인상안을 곧 내놓겠다고 밝혔다. 터키와 이란 역시 관세 인상을 추진 중이다.
철강업계가 수요 부진, 공급 과잉, 저가 공세 등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지만 한국은 뒷짐만 지고 있다. 한국은 주요 철강 생산국 중 유일하게 수입재 점유율이 40%를 넘는다. 그러나 2004년 가입한 세계무역기구(WTO)의 철강 무관세 협정에 따라 대부분 痔?철강에 대해 관세를 물리지 않고 있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업계 1, 2위는 고부가가치강 개발 등으로 차별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중소 철강업체에선 위기감이 크다. 한 철강회사 관계자는 “내수는 점점 줄고 해외에서는 중국 러시아산 제품에 밀리고 있어 이런 상태로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고 말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대회 참가자 평균 누적수익률 40%육박! '10억으로 4억 벌었다'
[특집_가계부채줄이기] '그림의떡' 안심전환대출 포기자들,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 비교로 '반색'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