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디로 Fed의 권한을 축소하고 견제를 강화하는 내용이다. 이외에도 미 연방 감사원이 Fed의 통화정책까지 감사할 수 있게 하는 법안도 제출돼 있다. 이에 대해 재닛 옐런 Fed 의장은 통화정책이 정치적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언론들은 Fed 개혁안들이 오바마 정부에 대한 견제 성격도 있다고 보고 있다.
102년 역사의 Fed도 정치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듯하다. 여기엔 Fed의 책임도 있다. 2012년 대선 직전에 3차 양적 완화를 단행해 현직 대통령을 지원하는 듯한 행보로 오해를 자초했다. 추가 양적 완화 자체가 정치적 선택이었기에 내년 대선을 앞두고 또다시 정치바람에 휩쓸린 셈이다.
미국의 논란은 중앙은행 역사가 일천한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언제부턴가 정부 정치권이 한국은행에 금리인하를 요구하는 게 당연한 일처럼 돼버렸다. 조급증은 점점 심해지고 있다. 한은이 정부에 맞서야만 독립이고 공조하면 종속이라고 착각하는 오류도 시정돼야 한다. 통화·재정정책은 최적의 조합을 추구해야 한다. 하지만 통화정책이 정치압력에 휘둘릴 때 그 폐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간다. 양적 완화를 통화정책의 포퓰리즘이라고 보는 이론도 없지 않다. 중앙은행 제도에 대한 고민도 깊어져 간다.
[한경스타워즈] 대회 참가자 평균 누적수익률 40%육박! '10억으로 4억 벌었다'
[특집_가계부채줄이기] '그림의떡' 안심전환대출 포기자들,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 비교로 '반색'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