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의 문제를 가지고 전체인양 부풀리는 방송사 고발 프로그램의 속성과 취재하는 기자나 PD의 무지, 제보자의 악의 등이 버무려져 프랜차이즈 업계에는 진실보다 오해가 더 통용되는 슬픈 현실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중견 프랜차이즈업체 B사를 둘러싼 오해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지난달초 한 공중파 방송의 고발 프로그램이 B사를 부도덕한 기업으로 낙인찍었습니다. ‘10년차 가맹점 사장의 눈물’을 주제로 가맹계약을 한 지 10년이 넘은 가맹점주들이 본사의 일방적인 계약 해지로 살 길이 막막하다며 눈물짓는 장면을 내보냈습니다. 이어 점주들은 로열티를 통해 폭리를 취한다며 본사를 질타하기도 했습니다. 협력업체 대표들도 등장했지요. 이들은 본사 오너의 부도덕성이 엿보이는 사례들을 언급하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오너가 계좌번호를 주더라고요. 이쪽으로 돈을 넣으라고요.” 총 6485만원이 입금된 통장이 화면에 클로즈업 됩니다. 이쯤되면 본사 오너는 나쁜 경영자로 시청자들에게 각인됩니다.
진실은 이렇습니다. 우선 작년에 만 10년차에 해당하는 85개점 중 재계약한 가맹점주는 81명으로 전체의 95%에 해당합니다. 계약이 종료된 4개점 중 자진 폐업한 곳이 2곳이므로 계약 해지가 문제된 곳은 단 2곳이지요. 본사 오너의 통장으로 들어갔다는 6485만원도 본사와 협력업체가 공동으로 벌인 사회공헌활동 기부금이라고 본사는 밝혔습니다. 지난해 B사의 10년차 가맹점이 85개에 달하고, 이들의 95%가 재계약을 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B사의 프랜차이즈 시스템은 훌륭하다는게 업계 평가입니다. 10명이 창업해 3년 안에 무려 8명이 폐업하는 국내 생계형 창업시장의 현실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정보공개서에는 무려 3000개가 넘는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등록돼 있습니다. 이 중에는 초보창업자들을 울리는 ‘먹튀’ 브랜드들이 상당수 존재하지요. 고발 프로그램은 바로 이런 곳에 카메라를 들이대야 합니다. ‘먹튀기업’을 뿌리뽑으려면 고발 프로그램들이 그들의 사례를 시청자들에게 생생하게 보여주고 끊임없이 경종을 울려야 가능한 일입니다. 개인들도 자기 책임아래 가맹본부를 선택하는만큼 프랜차이즈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갈고 닦아야 합니다. 주식 투자나 가맹점 투자나 기본 원리는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게 자기책임이라는 뜻입니다.
프랜차이즈 사업모델의 기본 원리는 상생(相生)입니다. 20세기에 탄생한 가장 이상적인 사업모델이지요. 가맹점이 부자가 되면 가맹본부는 저 熏?부자가 되게끔 만드는게 본사 오너의 경쟁력입니다. 따라서 이런 원리를 아는 본사 경영자라면 가맹점을 살찌우는데 정성을 다하게 됩니다. 프랜차이즈 선진국인 미국의 가맹본부들은 가맹점에서 나오는 로열티로 기업을 운영하는데, 가맹점의 로열티가 줄어들면 성장이 불가능합니다. 가맹점 지원에 온 힘을 쏟는 이유이지요.
우리나라에선 가맹점이 아무리 가난해도 가맹본부는 부자가 된다는 논리가 통용됩니다. 대부분의 국내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가맹점 모집에 따른 개설마진과 상품공급에 따른 물류마진에 의존하는 탓이지요. 이런 비정상적인 구조로는 가맹점의 롱런이 불가능합니다. 본사가 가맹점 모집에 급급하고 가맹점 관리와 지원은 뒷전이기 때문입니다.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로열티에 대한 합의는 프랜차이즈산업이 국민을 먹여살릴 ‘미래수종산업’이 되기위한 전제조건입니다. 10년, 20년 이상 문을 여는 장수 가맹점은 안정적인 로열티를 기반으로 성장하는 가맹본부가 없다면 애당초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로열티 안받는다는 본사에 박수치기보다 로열티 받는 만큼 가맹점 관리와 지원에 열성을 다하는 본사를 선택하는 일에 관심을 집중하는 게 창업자들의 정도임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cdkang@hankyung.com(끝)
한경+는 PC·폰·태블릿에서 읽을 수 있는 프리미엄 뉴스 서비스입니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