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AIIB 협정문 서명식에 참석하기 위해 방중한 최 부총리는 전날 밤 기자회견을 열고 "아시아 인프라 시장은 매년 7000억 달러 이상이지만, 인프라 금융은 3000억 달러도 채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우리 기업들의 건설, 교통, 통신 등에 대한 인프라 능력은 거의 세계적인 수준이라고 본다"며 중국이 경쟁력을 지닌 부분과 우리가 경쟁력을 갖춘 부분이 좀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지분율에 걸맞게 한국이 AIIB 이사직을 수임할 수 있도록 협의할 것이라고 밝히고 우리가 AIIB 부총재를 맡을 가능에 대해서는 "현 단계에서 한국이 이를 확보했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부총재직 진출을 위해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금까지 한국의 국제금융 전문인력 양성은 생각만큼 빠른 속도로 진행되지 않았다며 유능한 한국 인력이 AIIB 고위직과 중간 관리직에 적극 진출해 국제금융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략도 갖고 있다고 소개했다.
AIIB를 통한 대북 인프라 지원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여러 변수가 있다"면서도 비교적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최 부총리는 "AIIB는 IBRD(국제부흥개발은행), ADB(아시아개발은행) 회원국으로 가입을 제한하고 있어 북한은 회원국이 될 수 없다. 그러나 AIIB 내에서 4분의 3 의결을 받으면 회원국이 아닌 나라에 대한 지원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한국이 AIIB 내에서 북한 인프라 지원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앞으로 AIIB가 설립돼 운영하는 과정에서 북한지원 필요성이 제기되고 여러 환경 여건이 충족되면, 우리로서는 AIIB를 통한 북한 지원을 마다할 이유가 전혀 없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지원활동을 해야한다"고 대답했다.
다만 "그것은 여러 조건이나 환경이 충족됐을 때 가능하지, 지금 상황에서 미리 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최 부총리는 국제사회가 AIIB 지배구조에 대해 제기했던 우려들은 협정문 협상 과정에서 상당 부분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AIIB는 여타 다자개발은행과 같이 총회, 이사회, 총재, 부총재, 임직원으로 구성되며 선출 절차, 구성, 권한은 올 하반기에 구체화한다"고 설명했다.
'비상임이사 체제에서 중국 주도의 사무국 영향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는 "그에 대한 균형점을 찾은 것이 현재의 협정문"이라며 "충분한 보완장치를 뒀다"고 대답했다.
AIIB의 모든 운영과 투자결정 권한을 이사회가 보유한다는 점이 협정문에 명시됐고, 총재에 대한 권한 위임은 회원국의 4분의 3(투표권 기준)이 동의한 경우로 제한됐다는 설명이다.
최 부총리는 AIIB 출범 이후에도 우리가 비준동의 절차를 완료하지 못하면 중요 의사 결정에 옵서버로만 참여하게 돼 국익확보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며 "AIIB 출범시까지 국회에서 비준동의 절차가 마무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