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 회장·정몽구 현대차 회장 등 2세대까지
혜안과 도전으로 글로벌 기업 키워
[ 서욱진 기자 ]
일제의 강압에서 벗어난 70년 전 한국은 세계에서 최빈국 중 하나였다. 일제가 자원을 수탈해 가면서도 기술을 전수해 주지 않았기 때문에 산업화의 기반이 갖춰져 있지 않았다. 이런 와중에 6·25전쟁까지 발발, 한동안 외국의 원조에 의존해 국가와 국가 경제를 이끌 수밖에 없었다.
이런 한국이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데는 강한 도전정신을 가진 기업가들에게 힘입은 바 크다. 1세대 창업자들은 ‘한국을 잘사는 나라로 만들겠다’는 사업보국의 정신으로 기업을 이끌었다. 광복 70년을 맞은 지금의 한국 경제는 이들의 기업가정신에 적잖이 빚졌다고 할 수 있다.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대기업 그룹의 성장 스토리는 곧 한국 경제의 성장 역사다.
삼성의 창업주 고(故) 이병철 회장은 혜안이 돋보였던 경영자였다. 1938 ?3만원의 자본금으로 직원 40여명과 함께 대구 인교동에 ‘삼성상회’를 만들었다. 1951년 삼성물산을 설립해 자본을 모은 그는 설탕 제조업에 뛰어들었다. 당시 설탕은 수입 의존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제품이었다. 제일제당이 설립된 1953년 100%였던 설탕 수입 의존율은 1년 뒤 51%로, 3년 뒤에는 7%로 떨어졌다. 엄청난 외화를 절약할 수 있었다. 이렇게 시작된 삼성그룹은 반도체 휴대폰 등을 주력으로 하는 삼성전자를 필두로 지난해 기준 자산 351조원, 직원 50만여명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현대의 창업주 고 정주영 회장은 불굴의 의지를 가진 개척자였다. 그가 타계한 날 미국의 타임지(紙)는 그를 ‘많은 사람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한 인물’이라고 평했다. 경부고속도로를 만들고, 아무것도 없는 황무지에서 자동차와 배를 만들어냈다.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현대건설 등은 모두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일들을 해낸 기업이다.
SK를 설립한 최종건·최종현 형제는 팀워크로 그룹을 일군 경우다. 형 최종건 회장은 추진력과 사교성이 좋았으며, 동생 최종현 회장은 조직력과 계획성에서 뛰어났다. 형은 1953년 자신이 다니던 선경직물을 인수해 본격적인 기업가의 길에 뛰어들었다. 동생은 1962년 미국 시카고대에서 경제학 석사를 받은 ?귀국해 사업에 동참했다. 호흡이 잘 맞는 두 사람은 SK그룹의 전신인 선경을 국내 최대 섬유기업으로 키워냈다.
LG의 창업자 구인회 회장은 ‘사업은 기회고 선점’이라는 정신으로 1959년 금성사를 설립해 라디오 국산화에 성공했다. 1964년 락희화학은 최초의 합성세제인 ‘하이타이’를 생산해 주부들의 생활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1세대 창업주의 경영철학은 2세대로도 그대로 이어졌다. 이건희 삼성 회장은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있었던 ‘신경영 선언’으로 삼성의 운명을 바꿨다. 일본 제품 베끼기에 급급했던 삼성 제품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돋움하게 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반도체사업을 시작한 것도 이 회장의 결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은 ‘역발상 경영’이 돋보였다. 외환위기가 한창인 1998년 기아자동차를 인수한 것이 대표적이다. 정 회장은 기아차를 1년 만에 흑자로 돌려세웠다. 또 전 세계 시장으로 수출해 글로벌 자동차 회사로서의 위상을 다졌다. 구본무 LG 회장은 뚝심 있게 미래 기술을 개발해 한국 산업의 ‘먹거리’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구 회장은 GS, LS, LIG, LF 등을 계열분리하고도 매출을 30조원대(1994년 말)에서 150조원대(2014년 말)로 5배 키웠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도 석유화학, 보험, 태양광산업 등을 과감히 추진하며 재계에서 ‘한화그룹을 한 번 더 창업한 경영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