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석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16일 '싱글족(1인 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60대 이상 1인 가구는 소비성향이 축소되고 근로 안정성이 가장 취약하다고, 20·30대는 전·월세 보증금 부담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중되고 월세 임차료 지출 규모도 상대적으로 크다고 각각 분석했다.
1인 가구는 2000년 226만가구(전체 가구의 15.6%)에서 올해 506만가구(26.5%)로 불어난데 이어 2035년에는 763만가구(34.3%)로 세 집에 한 집꼴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0년과 2014년 1인 가구의 연령별 경제적 특성 변화를 보면 전체 1인 가구의 소비성향이 상승했는데도 60대 이상에서는 떨어졌다.
20·30대 1인 가구의 평균 소비성향은 2010년 66.1%에서 2014년 73.6%, 40·50대는 57.7%에서 64.7%로 상승했지만 60대 이상은 90.5%에서 84.5%로 하락한 것이다.
다른 연령대는 소득 증가폭보다 소비 증가폭이 컸지만 60대 이상 1인 가구는 소비 증가폭이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1인 가구의 월 가처분소득을 보면 지난해 60대 이상은 84만원으로 20·30대(193만원), 40·50대(201만원) 중 가장 작았다.
소득 자체가 작다 보니 60대 이상 가구의 소비에서는 필수재 비중이 컸다.
1인 가구의 소비지출액 중 식료품 지출 비중을 보면 60대 이상은 2010년 23.2%에서 2014년 23.6%로 상승했다.
반면 20·30대는 8.4%에서 8.5%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고 40·50대는 13.9%에서 13.0%로 오히려 하락했다.
소비지출액 중 주거비 비중은 60대 이상이 같은 기간 22.6%에서 24.2%로 1.6%포인트 올라 20·30대의 0.6%포인트(17.8→18.4%), 40·50대의 0.1%포인트(17.8→17.9%)보다 가파른 상승폭을 나타냈다.
60대 이상 1인 가구의 취업자 비중도 지난해 32.0%에 불과했다.
20·30대 78.3%, 40·50대 80.1%보다 크게 낮았다.
60대 이상은 취업한 상태여도 근로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60대 이상 1인 가구에서 임시·일용 근로자 비중은 66.0%로 1인 가구 전체 평균(40.0%)보다 26%포인트 높았다.
반면에 주거 문제에선 자가 비중이 낮은 20·30대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1인 가구 중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23.1%로 40·50대(37.3%)나 60대 이상(63.3%)보다 적었다.
20·30대 1인 가구의 전·월세 보증금 부담은 2010∼2014년 연평균 8.3% 증가해 40·50대(5.5%), 60대 이상(1.9%)의 증가 속도보다 빨랐다.
월세 임차료 부담 역시 20·30대 1인 가구는 지난해 기준 월평균 28만원으로 40·50대(24만원), 60대 이상(17만원)보다 컸다.
김 선임연구원은 "고령층 1인 가구의 근로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재취업 일자리를 늘리고 공공 근로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며 "20·30대 1인 가구에 맞춘 초소형 공공 임대주택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