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9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할지를 결정해야 할 시간이 다가왔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오는 16일(이하 현지시간)부터 이틀간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이달 인상 가능성을 유력하게 보거나 반드시 인상해야 한다는 견해가 우세했지만, 중국 등 세계 경제의 성장 둔화 가능성과 뜨뜻미지근한 미국의 경제지표들 탓에 지금은 9월 인상 전망이 다소 수그러져 그야말로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형국이다.
미국이 마지막으로 기준금리를 올린 때는 2006년 6월이었다.
13일(이하 현지시간) 현재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 즉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섣불리 올리기도 어렵지만, 그대로 내버려둘 수도 없는 '진퇴양난' 상태다.
Fed가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현재의 0∼0.25%인 '초저금리' 상태에서는 앞으로 어떻게 나타날지 모르는 경제 불확실성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금융위기에 대응하고자 2008년 12월 현재 수준까지 기준금리를 낮췄지만, Fed는 결국 채권 매입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완화' 등 전례 없는 정책들을 쓴 뒤에야 추락하던 미국 경제에 간신히 낙하산을 펼 수 있었다.
양적완화는 미국 경제를 안정시키는 데 이바지했지만, Fed로서는 발목에 납덩이를 하나 더 달게 된 셈이었다.
공개시장조작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통화정책 수단이 양적완화 때문에 사실상 무력화됐기 때문이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지난 5월부터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올리겠다고 공언한 점도 Fed의 운신 범위를 좁히는 결과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Fed가 쉽사리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금리 인상의 근거가 될 미국 경제지표들이 엇갈린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중국발 금융시장 충격이 전 세계를 강타한 일을 계기로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미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금리 인상의 부작용을 떠안아야 하는 금융시장 관계자들은 물론이고 유명 경제학자들부터 국제통화기금(IMF) 같은 국제금융기구나 중국 같은 다른 나라까지 미국에 금리 인상 연기를 주문하고 나섰다.
심지어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아예 금리를 올리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국제기구나 외국에서 '월권'이라는 비난을 무릅쓰고 미국에 특정한 방향의 통화정책을 요구하는 이유는 세계 경제에 미치는 미국의 영향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Fed가 기준금리를 올해 안에 올릴 경우 그 시점으로 9월과 10월, 12월을 거론하고 있다.
인상 폭으로는 목표치의 상단과 하단을 0.25%포인트만큼 한번 올려서 0.25∼0.5%로 만드는 방안이 가장 많이 거론되지만, 0.5%포인트를 올리는 방법이나 0.125%포인트만 올리는 형식 역시 언급되 ?있다.
블룸버그뉴스가 지난 9일 금융시장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한 시점별 금리 인상 확률은 오는 12월이 59.8%로 가장 높았고 오는 10월과 이달은 각각 42.6%와 30%였다.
12월에 기준금리를 올린다고 가정할 때 가장 개연성 높은 인상폭은 0.25%포인트다.
올해 상반기에는 12월에 0.5%포인트를 올릴 가능성도 거론됐지만, 최근의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해 이런 가능성을 제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어졌다.
이달과 12월 또는 10월과 12월에 각각 0.25%포인트씩 기준금리가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하던 목소리 역시 금융시장 불안이 커지면서 수그러들었다.
이달 또는 10월에 기준금리가 올라간다면 0.25%포인트만큼 한 번만 올릴 가능성이 가장 크게 제기되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bky@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