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도 뒤질세라 총공세에 나섰다. 일본은 최근 총공사비 18조원에 달하는 인도 뭄바이~아마다바드 구간 500㎞ 고속철 공사를 사실상 수주했고, 지난 5월엔 사업비 14조3000억원짜리 태국 치앙마이~방콕 670㎞ 구간도 수주한 바 있다. 원전도 그렇다. 아베 총리 집권 이후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터키, 인도 등과 원자력협력 협정을 추진하는 등 해외 활로 개척에 전력을 쏟고 있다.
반면 한국은 중국 일본과 같은 전의가 느껴지지 않는다. 고속철은 남들의 수주전을 구경만 해야 할 형편이고, 원전은 UAE 원전건설 수주 이후 이렇다 할 실적이 없다. 한국이 어쩌다 이렇게 됐나. 세계에서 네 번째로 고속열차를 자체 개발한 나라 아닌가. 원자력 역사 역시 반세기가 넘고, 원전 가동도 37년째를 맞이했다. 기술도 자립했고, 42년 만의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으로 수출 장벽도 많이 완화됐다. 하지만 국내에서 안주하다 보니 더 이상 뻗어나가지 못하는 것이다. 이명박 정부 당시 분주하던 해외진출 움직임도 지금은 감감무소식이다. 경제 외교가 전부 이렇다.
한국이 자랑하는 통신도 예외일 수 없다. 1885년 9월 한성전보총국으로 따지면 올해로 130년이 된다는 한국의 통신 역사다. 1986년 순수 국내 기술로 자동식 전자교환기 TDX-1 상용화, 1988년 1가구 1전화 시대 개막, 이후 LTE 시대 선도, 그리고 곧 다가올 5세대 통신 등 눈부신 역사다. 하지만 국내 통신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위기에 처해 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내수에 안주한 탓이 적지 않다. 원전, 고속철 등과 함께 통신도 세계로 나가야 한다. 그게 산업이 살고 국가경제가 사는 길이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