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현장서 멀어진 공대 (3·끝) 바람직한 산학협력 방안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
박진우 고려대 공대 학장
손봉수 연세대 공대 학장 좌담회
논문이든 산학협력이든 획일적 대학평가는 문제
우수 인력 공급 등 산업계 기여도로 평가해야
공대 박사 중기 근무 병역특례로 산학협력 강화를
사회=안현실 논설위원
[ 정리=오형주 기자 ]
최근 한국 공과대학은 1970~1980년대에 이어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극심한 대졸 취업난 속에 공대 졸업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취업률을 보이고 있고, 2000년대 들어 ‘이공계 위기론’을 촉발한 우수인재의 의대 쏠림 현상도 다소 주춤해졌다. 주요 공대의 세계 대학평가 순위도 매년 상승 추세다.
그러나 공대가 기업과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제대로 길러내고 있는지에 대해선 의문부호가 붙는다는 지적이 많다. 연구비 수주와 직결된 논문 실적을 최고로 여기는 풍토 탓에 산학협력은 물론, 반도체 자동차 플랜트 철강 등 한국을 대표하는 주력산업의 교육과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다. 대학과 산업계 수요 간 ‘미스매치’ 현상이 갈수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신문은 서울 중림동 본사 회의실에서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 박진우 고려대 공대 학장, 손봉수 연세대 공대 학장이 참석한 좌담회를 열어 공과대학이 산업현장에서 멀어진 이유를 짚어보고 바람직한 산학협력과 공대혁신 방안을 찾았다. 안현실 한경 논설위원이 사회를 봤다.
▷사회=반도체 자동차 등 한국의 주력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공대에서도 이들 분야에 대한 교육·연구가 점차 외면받고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각종 국가연구사업과 대학평가 등이 논문 실적을 잣대로 이뤄지는 게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대학에서 두뇌한국(BK) 사업을 따내려면 논문 편수가 많아야 유리하다. 국내외 기관이 하는 대학순위평가도 마찬가지다. 모든 대학이 논문이 잘 나오는 바이오·나노 등 첨단 분야에서 주로 신임교수를 뽑고, 기계·철강·석유화학 등 전통적인 분야는 등한시하게 됐다.
▷박진우 고려대 공대 학장=10여년 전부터 국가 연구개발(R&D) 정책 방향이 이미 성숙한 주력산업 또는 전통 분야 대신 미성숙한 첨단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이런 흐름이 이어지다 보니 자동차를 포함한 기계와 전기전자 등은 국가 R&D에서 완전히 소외됐다. 기계공학과마저 연구비를 잘 타내는 바이오·나노 전공자를 교수로 뽑아 자동차·기계 등 전공 교수를 확충할 여력이 없어졌다.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
박진우 고려대 공대 학장
손봉수 연세대 공대 학장 좌담회
논문이든 산학협력이든 획일적 대학평가는 문제
우수 인력 공급 등 산업계 기여도로 평가해야
공대 박사 중기 근무 병역특례로 산학협력 강화를
사회=안현실 논설위원
[ 정리=오형주 기자 ]
최근 한국 공과대학은 1970~1980년대에 이어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극심한 대졸 취업난 속에 공대 졸업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취업률을 보이고 있고, 2000년대 들어 ‘이공계 위기론’을 촉발한 우수인재의 의대 쏠림 현상도 다소 주춤해졌다. 주요 공대의 세계 대학평가 순위도 매년 상승 추세다.
그러나 공대가 기업과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제대로 길러내고 있는지에 대해선 의문부호가 붙는다는 지적이 많다. 연구비 수주와 직결된 논문 실적을 최고로 여기는 풍토 탓에 산학협력은 물론, 반도체 자동차 플랜트 철강 등 한국을 대표하는 주력산업의 교육과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다. 대학과 산업계 수요 간 ‘미스매치’ 현상이 갈수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신문은 서울 중림동 본사 회의실에서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 박진우 고려대 공대 학장, 손봉수 연세대 공대 학장이 참석한 좌담회를 열어 공과대학이 산업현장에서 멀어진 이유를 짚어보고 바람직한 산학협력과 공대혁신 방안을 찾았다. 안현실 한경 논설위원이 사회를 봤다.
▷사회=반도체 자동차 등 한국의 주력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공대에서도 이들 분야에 대한 교육·연구가 점차 외면받고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이건우 서울대 공대 학장=각종 국가연구사업과 대학평가 등이 논문 실적을 잣대로 이뤄지는 게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대학에서 두뇌한국(BK) 사업을 따내려면 논문 편수가 많아야 유리하다. 국내외 기관이 하는 대학순위평가도 마찬가지다. 모든 대학이 논문이 잘 나오는 바이오·나노 등 첨단 분야에서 주로 신임교수를 뽑고, 기계·철강·석유화학 등 전통적인 분야는 등한시하게 됐다.
▷박진우 고려대 공대 학장=10여년 전부터 국가 연구개발(R&D) 정책 방향이 이미 성숙한 주력산업 또는 전통 분야 대신 미성숙한 첨단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이런 흐름이 이어지다 보니 자동차를 포함한 기계와 전기전자 등은 국가 R&D에서 완전히 소외됐다. 기계공학과마저 연구비를 잘 타내는 바이오·나노 전공자를 교수로 뽑아 자동차·기계 등 전공 교수를 확충할 여력이 없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