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반납해 일자리 창출
서민위한 서비스도 늘려
[ 김은정 기자 ]
금융회사들이 일방향적인 사회 공헌이 아닌 금융소비자와 상생 협력할 수 있는 동반 성장에 앞장서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동반 성장에 대한 인식이 확산한 데다 청년 실업이 극심해지면서 고용·노동 문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로 깊어진 영향도 있다.
금융회사들이 동반 성장을 위해 적극 참여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이다. 청년 일자리 지원 사업 등을 위한 청년희망펀드는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제안해 마련됐다. 박 대통령이 1호 가입자로 나서면서 정부 고위 관계자, 금융지주 회장, 금융회사 임직원 등의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KEB하나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농협은행 등이 청년희망펀드 기부를 받는 은행으로 선정됐다. 청년희망펀드를 통해 모금된 기부금은 최근 정부에서 청년 구직과 일자리 창출 지원을 위해 설립하기로 한 청년희망재단의 청년 일자리 사업을 돕는 데 사용된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포함해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국민은행장,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최원병 농협중앙회장, 김용환 농협금융지주회장 등이 잇따라 가입했다.
경영진의 임금 반납도 동반 성장을 위한 금융회사의 또 다른 형태의 노력이다. 하나금융·신한·KB 등 3대 금융지주 회장들로부터 시작된 연봉 반납은 해당 지주 계열사는 물론 다른 금융회사로까지 퍼졌다.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20%의 임금을 반납하겠다고 동참을 선언했고 자회사 대표들은 10%를 내놓기로 했다. 조용병 신한은행장은 한 회장과 같은 임금 30%를 반납하기로 했다. 카드·금융투자·생명보험·자산운용·캐피털 등 신한금융 계열사 사장단의 반납 비율은 20%로 정해졌다. 부행장, 부사장, 전무급 등은 10%를 내놓는다.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및 하나금융 계열사 사장과 전무급 이상 임원들도 KB금융과 비슷한 수준에서 반납 폭을 정했다.
박인규 DGB금융지주 회장, 성세환 BNK금융지주 회장, 김한 JB금융지주 회장 등 지방 금융지주 3사 최고경영자(CEO)들도 각각 20% 수준으로 연봉 반납 대열에 합류했다. 외국계 은행도 다르지 않다. 박진회 한국씨티은행장은 외국계 금융회사 CEO로는 최초로 금융지주 회장 및 은행장들의 연봉 반납 대열에 들어섰다.
금융권 경영진들의 연봉 반납 효과는 하반기 채용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연초 하반기 채용 규모를 이미 확정한 금융회사들은 연봉 반납분에 따른 추가 채용 규모를 500명 이상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소외 계층의 자립을 돕기 위해 다양한 금융교육과 서민금융·지역사회 활동을 같이하고 있다. 지난해 은행권에서 지원한 사회공헌 활동 규모는 5146억원에 달한다.
신한은행은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민의 불편을 없애기 위해 희망금융플라자와 전담 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매년 희망금융플라자와 전담 창구 수도 늘리고 있다. 경기 둔화와 대기업 부실 등 경영 환경이 좋지 않지만 단순히 눈앞의 이익만 추구하기보다는 사회 및 금융소비자 함께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우리은행 역시 단순한 자금 지원보다 연중 찾아가는 상담, 전통시장 일손 돕기 등을 통해 취약계층의 자립과 실질적인 혜택을 추구하고 있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은 착한 도서관 프로젝트를 펼쳐 일반 소비자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기부해 문화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오디오 책을 제작·기부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밖에도 금융회사들은 사회적 배려자에 대한 자동화기기 이용 수수료를 면제하고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식으로 서민 경제 안정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