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100년 만에 완결된 수취 제도, 대동법
(32) 18세기, 조선의 美 달항아리
(33) 정조의 꿈은 무엇이었을까
(35) 최초로 근대 국가를 시도하다
(36) 이 땅의 주인은 농민이다
1863년 왕권을 제대로 펴보지도 못한 채 철종이 후사없이 33세의 나이로 세상을 뜹니다. 19세기 순조, 헌종, 철종대까지 안동 김씨 등 세도가들이 오히려 조선을 좌지우지하고 있었습니다. 철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이는 신정왕후 조씨의 전교로 지명된 고종입니다. 그런데 그는 당시 12세밖에 안 되는 나이라 처음에는 신정왕후가 잠시 수렴청정을, 그리고 곧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 국정을 맡게 됩니다. 왕의 적통이 없어, 종친 중에서 새 왕을 뽑았을 때, 그 아버지를 대원군이라 합니다. 흥선대원군 외에도 선조, 인조, 철종의 아버지를 대원군이라고 불렀지요. 단 이들은 모두 죽은 후에 대원군이라 칭해진 것이고 살아서 대원군이라 칭해진 이는 흥선대원군이 유일합니다. 그리고 그는 10년 동안 살아있는 권력으로 고종 대신 조선을 움직였습니다.
10년간 왕권 강화를 위해 일한 흥선대원군
한 마디로 말하면 흥선대원군은 조선의 26대 왕 고종의 아버지일 뿐입니다. 그런데 그는 어린 왕을 대신해 10년 동안 집권한 것이지요. 훗날 임오군란 때 잠깐, 그리고 1894년 1차 갑오개혁 때도 잠깐 집권한 적이 있지만 여러분은 주로 이 1863년부터 1873년까지 집권기에 대해 배웁니다. 당시 44세였던 그의 눈에 조선은 풍전등화와 같았습니다. 왕권은 땅에 떨어져 있었고 백성들은 이미 1862년 임술 농민봉기를 일으킨 상황이었습니다. 그리고 저 멀리 외부에서 들여오는 소리는 큰 나라로 섬기는 청 왕조가 서양에 의해 무너지고 있었으며, 바로 위의 러시아도 점차 세력을 넓힌다는 것이었지요. 안팎의 위기 속에 흥선대원군의 선택은 과감한 개혁이었습니다.
우선 외척일 뿐인데 권력을 가지고 있던 안동 김씨를 몰아냅니다. 특히 그들의 권력 기반이었던 비변사를 의정부로 통합하지요. 또한 붕당과 상관없이 고르게 인재를 등용합니다. “나는 천리를 끌어다 지척을 삼고, 태산을 깎아 평지를 만들며, 또한 남대문을 3층으로 높이고자 한다”는 말을 중신들에게 던진 대원군. 그 속내는 종친인 전주 이씨 세력을 중용하겠다는 뜻(천리를 지척으로 삼겠다)이었으며 기존에 정계에서 밀려난 남인 등 소수파를 등용하겠다는 뜻(남대문을 3층으로 높이겠다는 것)이었지요.
서원철폐하고 양반에게도 세금징수한 대원군
대원군의 개혁은 서원 철폐와 호포제를 통해 더욱 강해집니다. 그는 서원을 통해 유생들이 토 熾?노비를 소유하였으며 이를 지원하는 국가 재정의 부담만 커진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47개의 서원을 남겨두고 나머지는 모두 철폐하지요. 또한 양반에게도 군역을 지게 합니다. 군포를 거둬들이는 호포제를 실시합니다. 이 두 가지는 양반층 입장에서 자신들의 기반을 무너뜨리는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만큼 격렬한 반대에 나섰지요. 대원군도 물러서지 않고 더욱 개혁에 박차를 가하게 됩니다. 또한 왕권 강화의 상징으로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경복궁을 다시 짓게 됩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몇 번의 화재로 공사가 길어지게 되고 공사비를 감당하기 위해 반강제로 거둬들인 원납전과 상평통보의 100배가 되는 당백전이 화근이 됩니다. 백성들은 백성들대로 너무나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힘에 부친 경복궁 중건에 반발하였고, 당백전은 오히려 실제 가치가 너무나 폭락해 물가 폭등의 결과만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점차 대원군의 지지가 눈에 띄게 확 줄어들게 되지요.
한편 당시 점차 우리나라에도 다가오는 서양 세력에 대해 흥선대원군은 정치적 활용을 꾀하다 결국 초강수를 두게 됩니다. 처음에는 우리나라에도 많은 신자를 둔 크리스트교의 프랑스 선교사를 이용해 청에 있던 프랑스 군을 끌여들여 남진하려는 러시아를 막으려는 계획을 세웁니다. 그러나 이것이 뜻대로 되지 않게 되자 대원군은 병인박해라 하여 천주교 신자를 탄압하게 됩니다. 또한 대동강에 상륙해 식량을 일시 지원받기를 원한 미국의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오히려 상륙 후 약탈과 살인을 하자 이를 불태워 없애버리게 합니다.
천주교 박해와 통상 수교 거부한 대원군
그 후 프랑스군은 병인박해를 빌미로 강화도로 침략하면서 병인양요가 시작됩니다. 프랑스는 결국 철수하게 되지만 이때 강화도의 외규장각 도서를 약탈해 갑니다. 1871년에는 미국이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빌미로 다시 강화도로 침략해 옵니다. 이때에도 흥선대원군과 조선 정부는 필사적으로 막게 되면서 서양과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계속해서 유지하게 됩니다. 이 부분은 오늘날까지도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거리이지요. 만약 우리가 대원군 시기에 개항을 하고 서구 문물을 수용했다면 독립과 함께 근대화를 수월하게 이룰 수 있었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반면 이때나 지금이나 서구의 일방적인 자유 무역 요구를 거부하는 것이 국가 경제에 더 도움이 되는 것 아니냐는 견해도 있습니다.
1873년 이렇게 왕권 강화와 통상 수교 거부 정책으로 일관하던 대원군은 최익현의 상소에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 최익현은 흥선대원군의 집권이 부당하고 그 개혁의 성과도 잘못되었다는 점을 조목조목 주장하며 성인이 된 고종의 친정을 요구합니다.
결국 흥선대원군은 10년의 권좌에서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그 후 1882년 구식 군인과 하층민들이 봉기를 일으킨 임오군란에서 잡시 집권하고, 1894년 일본군이 경복궁을 침입해 내정 간섭을 강요할 때 잠시 등장한 흥선대원군. 그러나 그의 권력은 더 이상 유지되지 못 하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됩니다.
■ 최경석 선생님
최경석 선생님은 현재 EBS에서 한국사, 동아시아사 강의를 하고 있다. EBS 진학담당위원도 맡고 있다. 현재 대원고 역사교사로 재직 중이다. ‘청소년을 위한 역사란 무엇인가’ ‘생각이 크는 인문학 6-역사’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