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부문의 순저축률은 2013년도보다 1.2%포인트 높아진 6.09%를 기록했다.
가계 순저축률은 가계의 순저축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가계저축률을 분석할 때 주로 쓰인다.
1990년대 초반만 해도 20%대를 유지했던 가계저축률은 이후 하락 추세를 보이며 2011년 3.39%까지 낮아졌다가 2012년 3.42%, 2013년 4.90%로, 작년까지 3년 연속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가계저축률 증가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의 자금순환 통계를 보면 올 2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예금이나 보험, 주식, 채권으로 굴린 돈(자금운용)의 증가액은 61조8000억원으로, 1분기의 43조7000억원과 비교해 18조1000억원 늘었다.
2분기 국민총소득(GNI)은 전분기보다 0.1% 감소할 정도로 소득 여건은 악화됐는데 가계가 씀씀이를 더 줄이면서 쓰고 남은 돈이 더 늘어난 것이다.
가계 부문을 중심으로 저축이 늘면서 기업과 정부, 가계를 모두 합한 총저축률은 지난 1분기 36.5%를 기록, 분기 기준으로는 1998년 3분기(37.2%)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분기 총 저축률은 35.3%로 1분기(36.5%)보다는 1.2%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가계저축 확대는 가계의 재무여건을 양호하게 하고 기업 투자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어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의 사회보장지출 증가를 줄여 재정건전성을 유지하는 측면에서도 보탬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가계저축률 증가가 반가운 소식인 것만은 아니다.
최근 가계저축 증대가 경기회복이나 가계소득 증대에서 비롯됐다기보다는 향후 경기 전망이나 노후 등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측면이 강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통계청 조사결과를 보면 연간 지난해 2인 이상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72.9%로 해당 조사를 전국 단위로 확대한 2003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은행 예금 금리가 연 1%대 중반에 불과한 수준으로 떨어졌는데도 미래 불안으로 가계가 지갑을 닫고 있는 형국이다.
저축보다는 내수회복을 위한 소비가 더욱 장려되면서 과거 저축의 날 즈음에 출시되곤 했던 각종 특판 상품도 몇년 전부터는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한국금융연구원의 임진 연구위원은 '최근 저축률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가계저축 확대는 향후 경제성장, 고용, 임금 등에 대한 불안심리에 따른 '예비적 저축' 증가에 일부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소비위축 및 내수회복 지연 가능성을 의미하므로 우려되는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연고대 제친 성대·한양대…'어떤' 대학평가를 믿습니까?] ['착한 아빠'를 위한 차…'다운사이징' 쉐보레 올란도 1.6] [두산·신세계 면세점 유치 '맹공'…롯데 '수성' 가능할까] ['로즈골드' 남심도 잡았다…잿빛 하늘 덮은 '아이폰6S'] [농심, 백산수 신공장 가동…"매출 1조 '한국판 에비앙' 만든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강연회] 가치투자 '이채원.최준철.이상진' 출연...무료 선착순 접수중 (11.6_여의도 한국거래소)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