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촉통 전 싱가포르 총리 '마음껏 질문하는 문화' 필요 강조
[ 임근호 / 이유정 기자 ]
고촉통 전 싱가포르 총리는 “아시아적 가치는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룬 ‘아시아의 네 마리 용(한국 싱가포르 홍콩 대만)’을 키워냈지만 윗사람에게 질문을 못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고 전 총리는 지난 4일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15’에서 ‘변화하는 사회, 변화하는 교육’이란 주제의 기조연설을 통해 “마음껏 질문하는 문화는 간단해 보이지만 창의적인 인재를 키워내는 데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고 전 총리는 “미래의 세 가지 키워드는 세계화와 지식, 혁신”이라며 “싱가포르는 앞으로 바이오 기술이 중요해질 것을 대비해 지금은 초등학교 때부터 DNA 등의 개념을 가르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모든 국가가 교육을 중요시하지만 ‘교육은 움직이는 자동차의 타이어 갈기와 같아’ 생각만큼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영어공용화…세계화 앞당겨
싱가포르가 영국의 지배를 받던 1941년 태어난 고 전 총리는 1965년 말레이시아 연방 탈퇴부터 이후의 고도 성장기까지 싱가포르의 전 역사를 옆에서 생생히 지켜봤다. 그는 “1960년대만 해도 싱가포르인의 문맹률이 50%에 달했고 국립 산부인과병원에선 한 해 4만명이 태어나 ‘세계에서 가장 큰 아기 공장’이란 얘기까지 듣던 시절이었다”며 “당시 한 달에 하나씩 학교를 세우고, 아이들을 가르친 것이 그 후 싱가포르 발전의 원동력이 됐다”고 회고했다.
수준별 교육과 영어 공용화라는 파격적인 정책도 과감히 도입했다. 그는 “학교만 빠르게 늘려가다 보니 중퇴율이 급증했다”며 “우수한 학생들은 수업을 지루해하고, 조금 떨어지는 아이들은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그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도입한 게 수준별 교육이다. 1970년대 6%에 달했던 초등학교 중퇴율은 1997년 0.5%로 떨어졌고, 중학교 중퇴율도 같은 기간 13%에서 3.3%로 하락했다. 그는 “어린아이들에게 너무 가혹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많았지만 조금 못 했던 아이들의 학업 성적이 올라가고, 또 모든 과목에 차별없이 이를 적용하면서 비판은 점점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영어 공용화는 싱가포르의 세계화를 앞당기는 동시에 다민족으로 이뤄진 싱가포르에 국가 정체성을 부여하는 계기가 됐다. 그는 “독립 초기만 해도 중국인 자녀는 중국어를 쓰는 화교 학교, 말레이인 자녀는 말레이어를 쓰는 학교, 인도인은 타밀어를 쓰는 학교에 나눠 다녔다”며 “어떤 민족의 모국어도 아니었던 영어를 도입하고 ぜ??싱가포르는 하나의 국가가 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고령화…평생교육이 해법
고 전 총리는 “싱가포르의 교육은 지금도 변화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지식과 혁신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고, 세상은 더욱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지금까지의 교육은 학교를 졸업하고 한두 개의 기업에서 평생 일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하지만 ‘철밥통’이란 개념은 이제 깨졌고, 기대 수명이 늘어나면서 더 오래 일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더 많은 고등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해법이 아니라는 게 그의 지적이다. 세계 각국의 성장률이 7%를 가뿐히 넘던 고도 성장기를 지나면서 2~4%로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경제가 빨리 성장할 때 크게 늘려 놓았던 대학 정원 때문에 싱가포르뿐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도 취업을 못하는 사람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싱가포르가 도입한 교육제도는 고등교육이 아니라 ‘기술 직업 교육’과 ‘평생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제과 제빵 음식 같은 다양한 직업 기술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대학 졸업자도 언제든지 필요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 전 총리는 또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교육 정책이 바뀌었다면 지금의 싱가포르는 없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좌와 우, 진보와 보수 등 이런 복잡한 정치적 문맥 때문에 정권을 잡은 당은 기존의 교육 정책이 좋더라도 이를 바꿔버릴 수밖에 없다”며 “10년은 기다려야 교육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는 만큼 장기적인 시각에서 정책을 세우고 시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근호/이유정 한국경제신문 기자 eige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