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당선 이후에는 "우째 이런 일이…"라는 말이 시중의 유행어가 되기도 했다. 1995년에는 일본 정치인의 '망언'을 가리켜, 2008년에는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 공천을 두고 각각 "버르장머리를 고쳐야 한다"고 하는 등 거칠고 직설적인 화법도 마다하지 않았다.
다음은 김 전 대통령의 주요 어록이다.
▷ 1979년 국회의원에서 제명되자
순교의 언덕, 절두산을 바라보는 이 국회의사당에서 나의 목을 자른 공화당 정권의 폭거는 저 절두산이 준 역사의 의미를 부여할 것이다. 닭의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오고야 만다.
▷1985년 한국일보 인터뷰
10·26 뒤 나는 대통령이 돼 꼭 4년 단임을 하고 물러나고 싶었다.
그러나 83년 단식투쟁을 통해 대통령을 하겠다는 욕심을 완전히 버렸고, 이런 생각을 버리게 해 준 하느님께 감사드리고 싶다.
▷1987년 관훈클럽 토론에서
노태우씨는 전두환 대통령과 같은 군인 출신으로서 12·12 사태를 일으켰고, 일선 군부대를 빼내 쿠데타를 한 사람이다. 쿠데타 한 사람이 대권을 잡는 것은 군정의 연장이다.
▷1987년 지리산 등반 중 기자회견에서
단식 이후 마음을 완전히 비웠다고 생각했는데, 설산을 바라보니 더 비워야겠다는 아쉬움이 살아나는 것 같다.
▷1987년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산행 도중에 많은 낙오자도 있었다. 민주화도 이와 같다. 민주화의 길은 그만큼 고행의 길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민주화 산행에 있어서 최종 고지의 200m 전방에 와 있는 셈이다.
▷1987년 국회의사당 단식농성 중 인터뷰에서
대통령 후보 지명은 축제 속에 이뤄져야 한다. 박종철군 사건으로 온 국민이 우울한 지금, 민정당의 6·10 전당대회에서 하는 대통령 지명대회는 초상집에서 춤을 추는 격이다.
▷1987년 대통령 선거 직후 기자회견에서
선거혁명을 통한 민주화가 내 지론이었으나, 이 정권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어젯밤과 오늘 내내 생각한 끝에 이 정권을 완전히 타도할 것을 결심했다.
나는 박정희 정권을 타도시킨 사람이다. 기필코 전두환 노태우 정권을 타도할 것이다.
▷1993년 대통령 취임사에서
신한국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인내와 시간이 필요하다.
눈물과 땀이 필요하다. 고통이 따른다. 우리 다 함께 고통을 분담하자.
▷1993년 첫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우리가 먼저 달라져야 한다. 우리가 먼저 깨끗해져야 한다.
우리가 먼저 고통을 기꺼이 감당해야 한다. 나는 대통령인 나 자신이 솔선해야 한다는 각오 아래 오늘 나의 재산을 공개하는 바이다.
▷1993년 청와대 기자간담회에서 정치자금을 받지 않을 것임을 강조하면서
추석 때 떡값은 물론 찻값이라도 받지 않을 것이다.
▷1993년 국가기강확립 보고회의에서 고위공직자의 청렴성을 강조하면서
새 정부에 있어 국가기강 확립의 대도(大道)는 하나도 윗물 맑기요, 둘도 윗물 맑기다.
▷1993년 최형우 민자당 사무총장 아들의 대입 부정과 관련해서
우째 이런 일이….
▷1993년 신경제계획 민간위원과의 조찬에서
토지와 건물 등 부동산을 갖고 있는 것이 고통이 되도록 하겠다.
▷1993년 주요 인사 접견에서
요즈음 개혁을 하다 보니 환부 하나를 찾아내 도려내면 또 나오고 또 나오고 한다. 32년의 권위주의 시대가 만든 '한국병'이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 실감한다.
▷1993년 모범수출업체 대표들과 오찬에서 개혁의 속도를 자전거 타기에 비유하면서
너무 급히 달려도 위험하지만 달리다가 멈추면 쓰러진다.
▷1993년 금융실명제에 관한 특별담화문에서
이 시간 이후 모든 금융거래는 실명으로만 이루어진다.
▷1993년 경제5단체장 회식에서
아직도 골프를 열심히 치십니까.
▷1994년 '개의 해' 의미를 되새기며
개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 사랑을 받지만, 또 한편으로는 달리는 기차를 보고도 짖는다. 그러나 개가 짖는다고 뒤를 돌아볼 여유가 없다.
▷1993년 서울대 졸업식 치사에서
분노와 저항의 시대는 갔으며, 투쟁이 영웅시되던 시대도 갔다.
▷1994년 민주평통 운영위원 접견에서
북한이 무모한 핵개발을 계속하며 서방의 인내를 시험한다면 반드시 자멸의 길을 걸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경고한다.
▷1994년 북한 김일성 주석 사망 소식에
보름 후면 남북 정상이 한자리에 모여 민족의 장래를 위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키로 했는데 이 소식을 접하면서 아쉽게 생각한다.
▷1994년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남북한 사이의 체제경쟁은 이미 끝났다.
▷1994년 인천 북구청 세무비리 사건에 대한 엄단을 지시하면서
로마제국은 외침이 아니라 내부 부패로 망했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관련 대국민 특별담화에서
국민 여러분의 참담한 심경과 허탈감, 정부에 대한 질책과 비판의 소리를 들으면서 대통령으로서 부덕함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1995년 장쩌민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일본 정치인의 거듭된 망언에 대해
이번 기회에 일본의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
▷1996년 여야 및 국회 지도자들과의 회담에서
북한이 국지전을 일으키면 전면전으로 갈 수 있다.
▷1997년 차남 현철씨의 한보사태 이권개입 의혹에 대해
세상의 모든 아버지들과 마찬가지로 저도 아들의 허물은 곧 아비의 허물이라고 여기고 있다.
▷1997년 뇌졸중으로 쓰러져 의식 불명인 최형우 의원을 문병하면서
최 의원 나요, 나. 빨리 일어나야지.
▷1997년 LA다저스 박찬호 선수 가족 초청 오찬에서
정상에 오르면 반드시 내려갈 때도 생각해야 한다.
▷1999년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와 회동에서
국민들을 잠시 속일 수는 있어도 영원히 속일 수는 없다.
▷2001년 한나라당 박근혜 부총재를 평가하면서
아버지와 딸은 다르다.
▷2003년 최병렬 한나라당 대표를 방문해 단식 중단을 종용하면서
나도 23일간 단식해 봤지만, 굶으면 죽는 것은 확실하다.
▷2008년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김무성 의원을 방문한 자리에서 한나라당 공천심사가 엉망이라고 비판하면서
버르장머리 고쳐줘야 한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중국자유무역지구(FTZ)포럼]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