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도미노 위험에서 한국은 예외적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의 경우 외환건전성이 좋고 여타 신흥국과 달리 국가 부도위험이 낮다는 이유에서다.
대한상의는 이날 '미국 금리 인상의 파급 효과와 대응전략 연구' 보고서를 통해 "한국 등 신흥 11개국을 대상으로 위기 상황을 가정, 외환 대응력과 부도 위험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안전국'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는 '위험국'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1994년 미국 금리 인상에서 시작된 '테킬라 효과'가 현재로서는 한국에서 재현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당시 미국 금리 인상은 멕시코 금융위기를 불렀고 이는 아르헨티나, 태국, 필리핀을 거쳐 1997년 한국까지 번졌다. 마치 멕시코 전통술 테킬라에 취한 것 같다고 해 데킬라 효과라는 이름이 붙었다.
하지만 지금은 외환건전성이 좋아졌고 국가부도위험도 안정적이라는 게 '테킬라 효과 불가론'의 이유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 인상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한국 내 단기자금은 2700억달러로 추정된다"며 "이는 외환보유고(3747억달러)에 3개월간 경상수지 흑자(289억달러)를 더한 외환대응력(4036억달러)으로 방어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또 "국가부도위험 가늠자인 신용부도스와프(CDS) 가산금리(프리미엄)는 12월 0.54%로 11개국 중 한국이 가장 안정적"이라고 설명했다.
CDS 가산금리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가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파생상품의 가산금리를 말한다. 금리가 높을수록 부도 위험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보고서는 "지금 우리 외환보유고는 1997년 외환위기 때보다 14배 이상 증가했고 위기 대응력도 크게 높아졌다"며 "2013년 미국 중앙은행이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 발언을 했을 때에도 한국 주가와 통화 가치는 오히려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테킬라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터키, 남아공,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등 주요 위험국에 대한 수출 부진에 대해 주시할 것을 조언했다.
특히 이들 신흥국은 중국 경제 둔화, 원자재가격 하락 등의 악재까지 겹쳐 최악의 시나리오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성훈 연세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는 "미국 금리 인상은 단기적으로 외환시장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지만 이는 충분히 예상된 변화"라며 "오히려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불확실성 해소가 한국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