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가스공사 9척 발주 계획
이란, 가스수출 재개 임박
선박 대량구매 가능성 높아
현대중공업, 이중연료 시스템 개발
대우조선, 재액화 기술 연구
연비 개선 등 경쟁력 확보 총력
[ 도병욱 기자 ]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빅3’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및 LNG를 연료로 하는 선박(LNG추진선) 수주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상선 및 해양플랜트 발주 가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LNG운반선 및 LNG추진선 수요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서다. 따라서 LNG관련선을 얼마나 수주하느냐에 따라 내년 실적이 엇갈릴 전망이다.
대형 LNG선 프로젝트 줄예고
27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에는 적어도 3조원 이상의 LNG운반선 발주가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SK E&S는 지난 22일 내년 초 발주할 LNG운반선 2~3척에 대한 우선협상대상자로 현대중공업을 선정해 최종계약을 준비하고 있다. 정확한 발주 척수 및 계약금액 등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4500억~7000억원 규모의 계약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도 국영가스공사 게일도 LNG운반선 9척을 발주할 계획이다. 9척 가운데 3척을 인도 조선소에서 건조해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해 계약 진행이 더디지만, 이 프로젝트에 대한 인도 정부의 의지가 강해 조만간 발주가 나올 예정이다. 사업 규모만 약 18억달러(약 2조1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내년 초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가 해제되면 이란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운송할 LNG운반선도 발주될 가능성이 높다. 이란은 가스 매장량 세계 2위 국가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이란 에너지 기업 및 해운사가 보유한 선박은 대부분 건조된 지 20년이 지난 오래된 선박”이라며 “이란 해운사들이 경제 제재가 해제되면 선박을 대량 구매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내년 수조원대 대량 발주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내년 하반기 이후에는 미국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에서 생산하는 셰일가스를 운반하기 위한 LNG운반선도 발주될 전망이다.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가 최근 이 지역의 가스를 LNG 형태로 수출할 수 있도록 승인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연간 1500만t 규모의 LNG가 수출된다. 이를 해외로 수송하기 위해선 초대형 LNG운반선만 19척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소 4조원 규모의 발주가 나올 것이라고 업계 관계자는 말했다. LNG추진선 발주도 이어질 전망이다. 국제 환경규제가 점차 강화되면서 LNG를 연료로 하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LNG추진선 발주가 이르면 내년 상반기 시작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올해 ‘빅3’의 수주량을 지탱했던 초대형 컨테이너선과 초대형 유조선의 발주는 줄어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세계 최대 해운사인 머스크 등이 초대형 컨테이너선 발주를 취소하고 있는 데다 유조선 발주도 주춤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다. 해양플랜트의 발주가뭄은 국제유가 하락세를 감안하면 내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기술 개발에 몰두하는 ‘빅3’
조선 3사는 LNG를 운반할 때 손실되는 양을 줄이는 기술과 기존 선박 수준의 가격으로 LNG추진선을 건조하는 기술 등을 개발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디젤연료와 LNG를 동시에 사용하는 이중연료시스템의 성능을 끌어올리는 데 개발 역량을 모으고 있다. SK E&S로부터 수주할 계획인 LNG운반선에 이 시스템을 처음 탑재할 계획이다.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은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엔진을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다른 선박에 접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금까지 LNG운반선을 제외하면 LNG를 주연료로 하는 대형 선박이 건조된 적은 없다. LNG는 액체상태로 운송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자연기화를 하는데, 이를 다시 액체로 만드는 ‘재액화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기화된 가스를 100% 액체로 바꾸는 시스템을 중점적으로, 대우조선은 추가적인 냉매 없이 재액화하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있다.
수주를 따내기 위한 영업 전쟁도 치열하다. SK E&S의 LNG운반선 입찰에 빅3가 모두 참여한 게 대표적 사례다. 3대 조선사가 나란히 한 프로젝트에 뛰어드는 일은 드물다. 끝까지 경쟁도 치열했다는 후문이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