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로 튈지 모르는 김정은] "규모 4.8지진 일으킨 북한 실험, 폭발력 작아 수소폭탄 아닐 수도"

입력 2016-01-06 17:45  

수소폭탄과 원자폭탄 차이

수소폭탄은 핵융합 원리 이용…위력은 원자폭탄의 수천배
미국·러·중국 등 8개국 기술 보유



[ 박근태 기자 ] 북한이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에서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하면서 수소폭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1~3차 핵실험에서는 원자폭탄 실험을 했다. 원자폭탄은 순도가 높게 농축된 우라늄(U-235)과 플루토늄(Pu-239)을 용기에 넣고 연쇄 핵분열이 일어나도록 기폭장치를 갖춘 무기다.

반면 이번에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수소폭탄은 원자폭탄과 수소 핵융합 반응을 결합해 파괴력을 크게 높인 무기다. 태양이나 별에서는 섭씨 1000만~1500만도 이상의 고온 때문에 수소가 헬륨으로 변하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낸다. 이를 핵융합이라고 한다. 수소폭탄은 내부에 원자폭탄을 기폭장치로 사용해 폭탄 안에 있는 수소 핵끼리 서로 뭉치게 하는 원리다. 원자폭탄 기술을 보유해야 수소폭탄을 제조할 수 있는 이유다. 1952년 미국이 시행한 첫 수소폭탄 실험에서는 원자폭탄의 165배 폭발력을 보였다.

◆원폭 기술 보유해야 수폭 제조 가능

미국과 러시아를 비롯해 영국과 중국, 프랑스, 인도, 이스라엘, 파키스탄이 현재 수소폭탄 기술을 보유한 나라로 분류된다.

핵실험의 폭발력과 핵폭탄 종류는 지진파와 공기로 전파되는 음파, 핵실험 후 공기 중으로 분출된 핵종을 분석해 알아낸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진 규모만으로 수소폭탄 실험인지 일반 핵폭탄 실험인지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당국이 밝힌 이번 핵실험의 지진 규모는 4.8이다. 2013년 인공지진 규모인 4.9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 규모로 미뤄볼 때 수소폭탄에는 못 미치지만 원자폭탄보다는 기술적으로 앞선 ‘증폭원자폭탄(증폭핵분열탄)’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장순흥 한국원자력안전위원회 전문위원회 위원장(한동대 총장)은 “지진파 관측 결과 등으로 볼 때 수소폭탄의 전 단계일 가능성이 있다”며 “완전한 수소폭탄으로 가려면 좀 더 기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실험이 이뤄진 곳이 이전 핵실험장과 떨어져 있어 새로운 폭발 방식을 적용한 실험을 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옛 소련의 수소폭탄 실험에선 규모 7 지진이 관측됐다”며 “지진파 파형과 1~3차 핵실험의 지진파를 비교하면 수소폭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폭은 원폭보다 방사성 낙진 적어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핵실험이 이뤄진 직후 공기 중으로 분출된 핵종을 분석하는 것이다. 핵실험이 이뤄지면 대기 중에 크세논(Xe·제논), 크립톤(Kr), 요오드(I), 세슘(Cs) 같은 방사성 핵종이 나오는데 이 농도를 분석하면 핵실험 여부는 물론 핵실험에 사용된 물질을 판독할 수 있다. 수소폭탄은 원자폭탄과 비교해 방사성 낙진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5호에 실려 있는 레이더를 활용해 핵실험이 진행된 지형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도 고려되고 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