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진규 기자 ] 과도한 가격 상승을 막기 위해 식음료 회사의 관련 정보 공개가 좀 더 투명해져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원가 정보가 영업상 비밀이긴 하지만 다른 업종에 비해 너무 알려진 게 없다 보니 소비자의 불만이 커지는 양상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관계자는 “회사 규모와 유통 방식이 상이한데도 특정 품목의 가격을 올리면 ‘원가 상승’을 이유로 비슷한 폭으로 가격 인상을 단행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용 증가를 반영했다기보다 자의적인 가격 인상이라는 의구심을 받고 있다”며 “구체적인 정보는 기업 비밀이겠지만 그래도 소비자가 납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설명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직접 식품가격에 개입하는 방식에는 부작용을 걱정하는 시각이 많다. 실제로 과거 이명박 정부에서 민생안정과 밀접한 52개 품목이 정부의 직접 관리를 받아 이른바 ‘MB물가지수’로 불렸지만, 가격 인상 저지 효과는 부족했다. 오히려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식품회사 등이 제품 값을 크게 올리는 근거 자료로 악용되기도 했다.
식음료 품목이 다양하다 보니 대안도 제각각일 수밖에 없다. 해외처럼 와인과 맥주를 온라인으로 유통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와인 등 주류를 인터넷을 통해 판매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주세법상 불가능하다.
우유는 원유가격 연동제를 폐지하거나 가격 결정 과정에서 생산자와 우유회사가 협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게 우유 가공 회사들의 목소리다. 박상도 한국유가공협회 전무는 “연동제를 완전 폐지하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수요에 따라 가격을 조정할 여지는 남겨야 한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