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윤선 기자 ] 중국 정부가 LG화학, 삼성SDI 등이 생산하는 ‘삼원계’ 리튬이온 배터리를 전기버스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했다는 소식은 배터리업계뿐만 아니라 산업계 전반에 충격을 줬다. 중국 정부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한 달도 안 돼 노골적으로 비(非)관세 장벽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정부 고위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한국의 기술을 더 빨리 따라잡기 위해 이런 방법을 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외국 기업들의 선진 기술에 대한 규제를 마련해 자국 시장에 들어오지 못하게 한 뒤 중국 업체들이 따라잡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는 분석이다. ‘세계무역기구(WTO) 등에 제소하면 되지 않느냐’고 묻자 “어렵다”고 답했다. 중국이 다른 방식으로 보복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중국 정부가 첨단기술의 개발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비관세장벽을 비롯한 각종 수단을 동원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6.9%로 25년 만에 7% 밑으로 떨어졌다. 높은 경제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高)부가가치 산업을 키워 근 括湄湧?임금을 올리는 수밖에 없다.
중국이 한시라도 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리튬이온 배터리 등의 산업을 키우려고 안간힘을 쓰는 이유다. 지난해 중국이 첨단 제조업 육성을 위한 ‘제조업 2025’ 계획을 발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계획에는 첨단 산업은 정부가 최대 80%까지 투자비를 제공한다는 ‘파격적인’ 방안이 담겨 있다.
인력 빼가기도 비관세장벽 못지않은 큰 문제다. 반도체업계 고위 관계자들에게 ‘백지수표’를 제시했다는 얘기가 심심치 않게 들린다. 이제 한국을 먹여 살리고 있는 첨단 산업 분야에서도 중국과의 맞대결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중국은 막강한 외교력, 거대한 내수 시장 등 한국보다 활용할 무기가 많다.
이에 비해 한국 업체들이 가진 것은 별로 없다. 오히려 반도체산업을 지원하겠다고 하면 “왜 대기업을 돕느냐”는 반대가 나오는 걸 보면 기술 격차가 좁혀질 날도 얼마 남지 않은 듯하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