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란 기자 ] 지난해 자산운용업계는 운용자산이 20% 이상 늘어났을 만큼 화려한 한 해를 보였다. 올해도 지난해만큼은 아니더라도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하지만 업체 간 성장률 편차는 뚜렷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품군 별로는 공모펀드보다는 사모펀드가, 국내 주식형펀드보다는 해외투자와 대체투자펀드가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운용자산 818조원 사상 최대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93개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AUM)은 전년(681조원) 대비 137조원(20.1%) 증가한 818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기관투자가를 중심으로 한 사모펀드와 투자일임계약 수요가 크게 증가한 덕이다. 사모펀드 수탁액은 200조원에 달한다. 특별자산펀드와 부동산펀드 증가에 따라 전년 말 대비 27조원 늘었다. 연기금과 보험회사로부터 받은 투자일임계약액도 93조원가량 늘어난 397조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자산운용사 순이익은 4736억원을 기록했다. 2007년(5038억원) 이후 최대치다. 2014년의 4175억원 대비 561억원(13.4%) 증가한 수준이다. 공모펀드 운용보수는 평균 0.3%로 전년 말(0.31%)보다 줄었지만 운용자산이 늘어난 데 힘입어 운용업계의 평균적인 경영성과는 개선되는 추세다.
올해도 迷轅楮戮쳄揚?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란 분석이다. 연기금 운용자산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데다 저금리로 예·적금에 묶여 있는 자금이 금융투자상품으로 흘러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29일 출시된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와 지난 14일 도입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 세제혜택 상품은 개인들의 자금유입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는 해외 상장주식 투자 비중이 60% 이상인 펀드의 매매 및 평가 차익, 환차익 등에 대한 배당소득세(15.4%)를 면제해 주는 상품이다. 내년 말까지 1인당 3000만원 한도로 가입할 수 있다. 예·적금 펀드 주가연계증권(ELS) 환매조건부채권(RP) 등 여러 가지 상품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는 만능통장인 ISA는 5년간 순이익 200만원(총급여 5000만원 이하 근로자 또는 종합소득 3500만원 이하 사업자는 250만원)까지 비과세되고 초과분은 9.9% 분리과세된다.
다만 자산운용시장의 성장률은 다소 둔화될 전망이다. 김재칠 자본시장연구원 펀드연금실장은 “생명보험사의 일임자산 유입세가 둔화되고 있다”며 “불확실한 대내외 경제환경도 부동자금의 유입세를 꺾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상품 간 편차 커질 것
올해 자산운용업계의 성과는 어떤 상품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극과 극으로 갈릴 전망이다. 비과세 해외펀드 도입으로 해외주식형 펀드에 자금이 상당히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비과세 해외펀드에 들어온 납입액은 출시 1주차(2월29일~3월4일) 418억원, 2주차(3월7~11일) 528억원이다.
상장지수펀드(ETF)가 강한 업체들도 수혜를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 연기금이 펀드매니저가 종목을 선별해 투자하는 액티브펀드에 맡긴 일부 자금을 지수를 추종해 기계적으로 투자하는 인덱스펀드나 ETF 쪽으로 옮겨가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기관투자가와 고액자산가를 주요 대상으로 한 사모펀드 시장도 유망하다. 사모펀드 운용자산은 최근 3년간(2012년 말~2015년 말) 122조원에서 200조원으로 63.9% 급증한 반면, 공모펀드는 같은 기간 195조원에서 221조원으로 13.3% 늘어난 데 그쳤다. 특히 국내주식형 공모펀드 자산은 51조8809억원(지난 14일 기준) 규모로 3년 전(57조7765억원)에 비해 10.2% 역성장했다. 국내 주식시장이 수년째 박스권에 갇히면서 액티브 펀드가 수익률을 내지 못한 영향이다.
자산운용업 내 경쟁구도도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사모펀드 운용에 특화된 자문사들이 자산운용 시장에 대거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김 실장은 “기관투자가 고객이 탄탄한 회사, 해외투자와 대체투자에 강점을 보유한 회사, 자산배분형 솔루션 상품에 강점이 있는 회사, 자산관리 역량이 있는 업체와 제휴가 가능한 회사가 부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