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은 모든 것이 정반대다. 세계경제 침체 여파로 주력품목인 원자재, 농산물 등 수출이 극심한 타격을 입어 2010년 7.5%였던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3.8%로 곤두박질쳤다. 올해도 -3.8%로 파탄 지경이다. 3대 국제 신용평가회사는 브라질의 신용등급을 투기등급(BB)으로 강등시켰다. 그럼에도 53세가 넘으면 현역 때 임금보다 더 주는 방만한 연금제도와 온갖 공짜복지로 인해 재정적자는 눈덩이다. 경제파탄과 부패로 호세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고 급기야 탄핵안까지 하원을 통과하기에 이르렀다.
신흥국의 대표주자였던 브라질이 이 지경인 것은 무엇보다 룰라 전 대통령 이래 14년간 누적된 인기영합 정책의 필연적 결과다. 고유가 시절 산업경쟁력을 키우긴커녕 국가예산의 75%를 복지에 쏟아부으며 흥청망청 파티를 벌였다. 뒤늦게 복지 축소에 나섰지만 앞으로 2~3년은 경제회생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평가다. 물론 아르헨티나도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 부부가 지난 12년간 교대로 집권하며 페론주의식 포퓰리즘으로 경제를 거덜냈지만 뒤늦게나마 그 고리를 끊은 것이 차이점이다.
우리나라도 4·13 총선에서 현금 살포, 공짜 복지 등 ‘사탕발림 공약’이 난무했다. 그렇지 않아도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의 분석에 의하면 20대 국회의 성향은 중도좌파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포퓰리즘으론 경제위기 극복도, 먹고사는 문제 해결도 불가능하다. 20대 국회는 어디로 갈 것인가.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