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한 현상이다. 일손이 많이 모자라니 임금이 많이 오르는 것이다. 정규직이든 비정규직이든 똑같다. 임금 역시 이렇게 시장에서 수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선 이런 정상적인 현상을 보기 어렵다. 수급에 따른 임금 및 고용 유연성이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 최저임금제부터 그렇다. 파트타임 근로자의 임금을 결정하는 기준인 최저임금제는 노동계가 조합원 임금을 끌어올리는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대부분 정규직에만 혜택이 돌아가고 있다. 최저임금이 2000년 이후 연평균 8.7% 상승하는 바람에, 중소기업과 영세사업장들은 도저히 그 수준을 맞출 수 없게 됐다. 지난해 법정 최저임금 미만의 급여를 받은 근로자가 전체의 11.5%(222만2000명)나 된다. 정규직 노조의 투쟁에 따라 인상률이 결정되다 보니, 기업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보다 훨씬 높게 인상률이 결정된 탓이다. 비정규직들은 인상 혜택을 보지 못하는 것은 물론, 고용 불안 피해까지 보고 있다.
정부가 이미 왜곡된 최저임금제를 붙잡고 앉아 노동계에 끌려다니고 정치권이 끊임없이 훈수를 두는 한 이런 불합리는 계속될 것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비정규직은 경기가 좋아져도, 일손이 모자라도 임금을 제대로 올려받지 못하게 된다. 이런 것이 비정상이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