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로 상향

입력 2016-08-08 14:45  

"견고하고 지속적인 성장"
2019년 1인당 GDP 3만달러 추정
"지정학적 긴장 현저히 높아지지 않을 것"



이 기사는 08월08일(13:2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 정부의 장기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AA-’에서 ‘AA’로 상향 조정했다. 등급전망은 ‘안정적’으로 평가했다.

S&P는 "한국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이 경제적 번영과 재정 및 통화정책 유연성 확대, 그리고 대외지표의 꾸준한 개선으로 이어졌다"며 "앞으로 3~5년 동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008년 이전에 비해 둔화되겠지만 대부분의 선진국 보다는 높은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은행들의 단기외채 감소와 큰 폭의 무역수지 흑자 지속은 대외지표 개선으로 이어졌고 이는 국가신용도를 견인하는 요소"라고 설명했다.

S&P는 우호적인 정책환경, 견조한 재정상황, 순채권국 지위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摸?안보위험과 우발채무는 이런 강점을 일부 상쇄하는 요소로 꼽았다.

S&P는 한국의 1인당 평균 GDP가 2016년 미화 약 2만7000달러에서 2019년 3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다른 선진국의 1인당 실질 GDP 성장률이 0.3~1.5% 수준인데 비해 한국의 1인당 실질 GDP 성장률은 이보다 높은 2.6%로 추산했다. 2009년 이후 원화가치가 30% 가량 높아졌으나 수출경쟁력이 크게 훼손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한국의 교역부문이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다.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올해 수출이 다소 부진하긴 하지만 역내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크게 낮은 수준은 아니라고 S&P는 판단했다. 또 미국 경제 회복과 더불어 수출이 살아나면서 대중국 수출 둔화를 어느 정도 상쇄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외지표 개선에도 주목했다. 국내 은행권 순대외채무가 경상계정수입(Current Account Receipts, CAR)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25% 수준에서 2015년 0% 밑으로 떨어져 순대외채권자가 됐다. 은행권 대외채무의 평균 만기도 길어졌다. 총단기대외채무가 경상계정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감소했다.

S&P는 한국 정부와 금융권이 보유한 대외유동자산이 총대외부채를 초과하는 금액 규모가 2014년 경상계정수입의 21% 수준에서 2016년 말 약 32%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무역시장 둔화로 인해 흑자 규모가 앞으로 2~3년 동안 다소 줄어들 수 있지만, GDP대비 5% 이상 수준은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의 통화정책도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요소로 꼽았다. 한국은행은 정부의 재정정책에 발맞춰 통화완화 정책을 유지해왔고, 시중금리는 기준금리 인하를 효珦岵막?반영해왔다는 설명이다. 한국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직후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하고 물가상승 기대를 통제하면서 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왔다고 S&P는 호평했다. 다만 한국의 높은 가계부채는 통화정책 유연성의 제약 요인이라고 언급했다.

우수한 재정건전성도 높이 평가했다. 한국 정부는 사회보장기금 잔액을 포함해 2000년 이후 대체적으로 재정흑자를 나타내왔다. 한국 정부의 순부채는 2015년 기준 GDP의 20%를 소폭 웃도는 수준으로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대형 비금융공기업(nonfinancial public enterprise, NFPE)에 대한 정부의 높은 부담(익스포져)은 재정상태를 압박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대형 비금융공기업 부채는 2015년 기준 GDP의 약 25% 를 차지한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자체신용도 ‘bb-’)과 한국수출입은행(자체신용도 ‘bb’)의 자체신용도(stand-alone credit profile)는 상대적으로 낮고, 두 국책은행 모두 국내 비금융공기업에 대한 익스포져가 높다는 점도 부담 요인으로 지적했다.

한국의 신용지표 중 가장 취약한 부문은 우발채무와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험(리스크)으로 제시했다. 북한 정권이 붕괴할 경우 막대한 통일 비용을 감당해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견고한 제도적 기반이 부정적 파급효과를 적절히 통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안정적 등급전망은 한반도의 오랜 지정학적 리스크가 한국의 신용도를 위협할 만큼 현저히 높아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을 반영한다고 S&P는 밝혔다. 북한과의 간헐적 긴장 상태도 2011년 김정은 국방위원장 취임 당시보다 고조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