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젯자 월스트리트저널은 “글로벌 자동차업계의 스페인 투자가 이어진다”며 유연한 해고를 보장한 노동개혁과 우수한 부품공급망이 그 요인이라고 보도했다. 스페인이 유럽에서 2위, 세계적으로 8위의 자동차 생산 국가로 발돋움한 데는 2012년 노동개혁이 크게 작용했다고 한다. 재정위기 극복과정에서 스페인은 장기근무자에 대한 해고를 쉽게 하면서 파업 등 실력행사는 어렵게 하는 쪽으로 노동법을 개정했다. 지난해 폭스바겐이 10억유로 투자로 500명을 추가고용한 것이나 포드가 2020년까지 23억유로를 더 투자키로 한 것 등은 그 결실이다. 지난해 스페인이 270만대를 생산해 80%를 수출한 것이나 자동차산업의 GDP 비중이 2005년 5.2%에서 지난해 8.7%로 증가한 게 우연이 아니었다. 지난해 경제성장률(3.2%)도 EU 평균(2.0%)보다 월등히 높다.
이탈리아 경제가 근래 호조세를 보인 것도 2014년 말의 노동개혁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이탈리아 노동개혁 성과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탈리아 정규직 신규채용은 전년 대비 47%나 증가했다. 임금인상 제한, 파업금 ? 전환배치 허용 등 굵직한 개혁안에 노사가 합의하면서 경직된 노동시장에 변화가 일어났다. 이탈리아 경제도 지난해 4년 만에 플러스(0.6%)로 돌아섰고 일자리도 128만개가 늘어났다.
그러나 우리 현실은 암담하다. 박근혜 정부가 4대 개혁이라 했던 노동개혁안은 국회로 넘어간 뒤 감감무소식이다. 국회는 노동시장 개혁에는 관심조차 없다. 스페인이나 이탈리아의 노동개혁안은 해고 유연성 등 본질에 접근한 것이었다. 노조의 기득권에는 손도 못 대고 생산성은 퇴보하는 이런 한국에서 한국GM이나 현대자동차가 생산을 계속 한다면 그게 오히려 이상하지 않겠나.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