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품질이 문제다
서화동 문화부장 fireboy@hankyung.com
[ 서화동 기자 ] 딱 부러진 증거는 없어도 의심 사례가 많으면 사실일 가능성이 크다. 사드(THAAD·고(高)고도 미사일방어체계)의 한국 배치 결정 이후 제기된 중국의 ‘한류 제재 보복설’이 그렇다.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전해진 중국발(發) 의심 사례는 한둘이 아니다. 한류스타 팬미팅 취소부터 드라마 출연 중단, 출연한 예능프로그램의 이른바 ‘통편집’ 논란까지 사례도 다양하다.
중국 최대 동영상 사이트 유쿠투더우는 지난 6일 베이징에서 열 계획이던 배우 김우빈과 수지의 팬 미팅을 ‘불가항력적인 이유’라며 취소했다. 배우 유인나가 주연한 드라마의 촬영 중단, 이달 상하이에서 열릴 예정이던 인기 아이돌 그룹 엑소(EXO)의 콘서트 취소, 중국판 ‘나는 가수다’에 출연해 한류스타로 부상한 가수 황치열이 출연한 예능 프로그램의 대폭 삭제 등이 이어졌다. 지난 19일부터 촬영을 시작할 예정이던 한·중 합작영화 ‘강원도’의 갑작스런 제작 중단, 오는 10월까지로 예정된 국내 인기 뮤지컬 공연의 중국 5개 도시 순회공연 일정 대폭 축소, 엔터테인먼트업체들의 주가 하락 등도 잇따랐다.
중국 정부가 사드와 관련해 한류 콘텐츠를 제한하도록 공식적으로 지시했다는 증거는 없다. 하지만 중국 측 인사들은 누가 지시했다고만 밝히지 않았을 뿐 한결같이 사드를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한국 프로그램 제재령, 즉 한한령(限韓令)이 있다는 것이다.
한류 콘텐츠에 대한 중국 정부 제재가 처음은 아니다. 중국은 그동안에도 외국 콘텐츠에 지속적으로 제재 강도를 높여 왔다. 지난 6월 중국 국가신문방송통신위원회는 자국 콘텐츠 보호를 위해 1년에 한 개 이상의 신규 외국 판권 프로그램 방영을 금지했다. 또 황금 시간대에는 1년에 두 개 이상의 외국 판권 프로그램을 방영할 수 없게 했다.
사드 배치 결정 이후 드러난 문제는 한류의 지나친 중국 편중이다. 중국은 한류 콘텐츠 수출액의 40%가량을 차지하는 최대 한류 소비국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13~2015년 중국 전체 예능프로그램에서 한국 포맷 예능 프로그램이 차지한 비율은 총 43.3%에 달했다.
중국이라고 이런 상황을 마냥 손 놓고 구경할 리 없다. 어쩌면 사드는 ‘울고 싶을 때 뺨 맞은’ 복합처방인지도 모른다. 중국은 영화·드라마·음악 등에 대한 합작 투자, 자체 제작 등을 통해 탈(脫)한류를 시도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 기업이 한국 엔터테인먼트업체를 인수합병하거나 투자한 금액은 1억6130만달러(약 1830억원)로 지난해 전체 투자액(1억1080만달러)을 훨씬 웃돌았다. 중국 자본이 몰리면서 국내 연예산업이 중국의 하청 생산기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정 뎬? 중국 입맛에만 맞게 만들다 보니 콘텐츠가 부실해진다는 지적도 있다.
중국이 한류의 일방적 수출 대상이 아니라 경쟁 상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위기를 이기는 힘은 결국 콘텐츠에서 나온다. 시장은 넓다. 아시아권뿐만 아니라 새로운 한류 시장으로 뜨고 있는 아랍권을 비롯해 유럽·아프리카·미주까지 시장을 다각화하는 데 필요한 콘텐츠 경쟁력을 갖추는 게 급선무다.
서화동 문화부장 fireboy@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