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가 어제 내놓은 ‘대기업노조 파업과 임금 격차에 대한 중소기업 근로자 인식조사’는 이런 모순을 재확인시켜 준다. 중소기업 근로자 500명에게 물은 결과 현대차와 조선업계 파업 등에 대해 61.4%가 ‘부적절하다’고 응답했다. ‘타당하다’며 공감한 경우는 14.0%에 불과했다. 같은 처지의 노동자가 아니라는 냉정한 인식이다. 파업에 부정적인 이유가 더욱 시사적이다. ‘하청업체 부담가중 및 임금격차 심화’(68%, 복수응답), ‘대기업과의 임금격차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59%), ‘중기 취업기피 심화’(34%), ‘분규 부담으로 인한 채용축소’(25%) 같은 응답들은 툭하면 파업을 벌이는 귀족노조들의 강고한 노동기득권에 대한 우려 그 자체였다.
때맞춰 어제 중소기업청이 발표한 임금통계를 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다. 대기업의 평균 월 임금이 515만원인 데 비해 중소기업은 317만원에 그쳤다. 대기업을 100으로 볼 때 중기는 지난해 62에서 올해 61.6으로 더 떨어졌다. 정규직·비정규직, 원청·하청의 이중구조가 신분처럼 굳어지며 노동소득의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것이다. 고임금의 원청 파업으로 생산이 멈추면 손실은 하청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전가된다. 그래도 대기업노조는 어떻게든 파업 때 임금까지 보전받아내는 게 한국적 노동 전통이다.
그러나 국회는 전체 근로자의 10%에 불과한 대기업 노조에 포획돼 있다. 지난 총선 때 한국노총의 전·현직 간부가 5명이나 새누리당 비례대표를 신청한 게 우연이 아니었다. 노동카스트를 혁파하자.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