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섭 증권부 기자) 지난해 한국 증시는 중소형주가 ‘히트’였습니다. 화장품 바이오 등 한 해 동안 두 배 가까이 오른 종목이 수두룩했죠. 그런데 올들어 이런 판세가 완전히 변했습니다. 삼성전자 등 대형주의 주가가 가파르게 뛰었죠. 대형주가 오르는 증시 상황은 펀드매니저들에겐 달갑지 않습니다.
대형주는 덩치가 워낙 크다보니 상승폭이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또 대부분의 롱쇼트 전략을 구사하는 펀드매니저들은 대형주를 매도(쇼트)하고 중형주를 매수(롱)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내왔습니다. 이렇다보니 롱쇼트 투자 전략을 사용하는 헤지(사모)펀드들이 고전하고 있네요.
13일 NH투자증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에 등록된 국내 192개 한국형 헤지펀드(지난달 말 기준) 중 롱쇼트를 주 전략으로 사용하는 24개 펀드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2.42%에 불과했습니다. 국내 주식형 공모펀드의 평균 수익률(0.32%)이나 상장지수펀드 수익률(ETF·5.77%) 보다 한참 낮았죠.
‘대신에버그린롱숏’ 펀드는 연초 이후 -24.51%를 기록했습니다. 192개 헤지펀드 중 꼴찌네요. ‘브레인 한라’(-18.03%) 등 평균 수익률 하위권에 롱쇼트 펀드가 대거 이름을 올렸네요.
롱쇼트펀드의 고전은 지난해와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시장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매수와 매도를 동시에 진행해 차익을 내는 롱쇼트 펀드는 증시가 박스권에 갇힌 상태에서 변동성이 클 때 유리한 상품입니다. 두 방향에 투자를 하다보니 예측이 틀릴 경우 더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롱쇼트 펀드가 수익률을 내지 못했다는 것은 롱도, 쇼트도 모두 틀렸다는 것”이라며 씁씁해 했습니다. (끝) / duter@hankyung.com
모바일한경는 PC·폰·태블릿에서 읽을 수 있는 프리미엄 뉴스 서비스입니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