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적으로 보면 최저한세율 인상으로 인한 법인세 부담이 7745억원 늘어나고,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와 시설투자세액공제, 연구인력개발비 등 각종 투자지원 세제 축소로 1조3130억원의 세 부담이 추가로 발생한다는 게 김 교수의 추산이다. 그리고 이 부담은 대부분 대기업에 집중될 것이란 분석이다. 조세재정연구원이 지난 8월 내놓은 ‘법인세 부담 수준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에서 법인세 실효세율이 2014년 16.1%, 2015년 16.6% 등 상승 추세이고, 그 상승폭은 기업규모가 클수록 크다는 분석과도 맥락을 같이한다. 기업들로서는 불황 속 부담 증가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셈이다. 이런 마당에 야당 등은 한술 더 떠 법인세 인상을 주장하고 있으니 정말 한심하다.
기업 세부담 증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경기는 안 좋은데 세금은 잘 걷힌다는 이른바 ‘세수 미스터리’의 일단을 풀어준다. 물론 여기엔 국세청의 징세활동 강화 등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슈퍼컴퓨터급 전산망을 동원해 거래 쌍방의 자료 대조로 소득 포착률을 높이고, 기업에 과세자료를 미리 통지하는 등의 조치가 효력을 발휘 杉募?것이다. 이 과정에서 중소기업과 영세업체 등은 세 부담 급증을 호소한다. 세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야 당연하지만 경기가 안 좋을 때 세수가 호조를 보인다는 건 납세자의 고통이 그만큼 커졌음을 의미한다.
경제가 살아나 세수가 증가한다면 백번이라도 환영할 일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더구나 불황 속 세수 확대는 오래갈 수도 없다. 기업의 세 부담 증가가 경제를 더욱 위축시킬 게 뻔하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는 재정적자를 감수하면서까지 경제 살리기에 나서는데 이 나라 경제팀은 오히려 경제를 죽이고 있다. 재정정책은 아예 실종인가.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