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타임스도 “초저금리와 양적완화로 경기 부양을 하려다 부채 수준이 과도해져 오히려 위험이 더 커지는 역설적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최근 “저금리와 양적완화가 불평등을 심화시켰다”며 통화정책 때문에 가난해진 사람들을 위해 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탠리 피셔 미국 중앙은행(Fed) 부의장 역시 “금리가 지나치게 낮으면 경제가 쇼크에 취약해지고 전통적인 통화정책 도구에도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렇다 할 경기회복 없이 부채가 늘고 부동산, 주식 등 자산거품만 생기는 데 대한 불안감이 점점 고조되고 있다. 양적완화나 초저금리는 위기극복용 비상수단이었다. 그런 위기조치가 상시화되면서 또 다른 위기를 잉태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Fed가 기회만 되면 금리를 올리려고 하는 것도 이런 위기감 때문이다. 유럽중앙은행이 양적완화 테이퍼링을 검토하는 이유도 비슷하다.
최근 불거진 도이치뱅크 사태를 비롯한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은 이런 위기감을 더욱 고조시키는 계기가 됐다. 혹시 있을지 모를, 어쩌면 임박했을 수도 있는 위기에 우리는 얼마나 대처하고 있나. 여전히 호황인 부동산과 그것에 불을 때는 가계부채는 지금도 증가추세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